우리나라는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과 평균수명 연장으로 OECD국가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 중이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를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 한다.

우리나라는 2000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7.1%를 차지해 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현재 전국 평균 11.4%.

충북의 경우 9월말 현재 213811명으로 전체 인구(1563323)13.6%를 차지, 고령화사회를 뛰어 넘어 고령사회로 진입하기 일보직전이다. 농촌지역은 더욱 심각하다.

청원(14.2%), 충주(15.1%), 제천(15.6%), 진천(15.7%), 음성(16.3%) 5개 시·군은 고령사회로, 보은(28.2%), 옥천(22.3%), 영동(25.2%), 괴산(28.1%), 단양(23.1%) 등은 초령사회로 들어섰다.

산업단지가 많고 도시화율이 높은 곳은 노인인구비율이 낮은 반면 농업 등 1차 산업 비중이 높은 곳은 고령화율 역시 높다.

고령화사회는 의학이 발달하고 생활환경이 개선되면서 평균수명이 늘어 생기는 선진국형 사회이지만, 많은 문제점을 가져온다. 빈곤·질병·고독감 등이 대표적인 노인문제다.

앞으로 갈수록 초고령 인구가 크게 늘어나는 것은 행정당국의 노인복지 정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변하는 데 상당 기간이 소요돼 그에 대한 준비도 체계적이고 점진적으로 이뤄졌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성장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고령화사회가 이뤄져 20년 정도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본다.

심각하게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노인문제에 대해 이제 개인문제를 떠나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단계에 와 있다.

물론 정부 차원에서도 고령화사회에 대비해 노인복지대책을 마련하고는 있다. 복지부는 독거노인의 건강과 안전 등을 돌보는 독거노인 종합대책, 치매 예방과 관리를 위한 치매 관리 종합대책을 수립중이다.

그러나 노인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하고 가족과의 유대관계 악화로 인한 소외감도 여전하다.

의학의 발전과 경제발전으로 오래 살게 된 것은 축복할 일이지만 고령화는 국가와 사회의 경제적 활력을 떨어뜨린다. 어쩔 수 없이 진행되는 추세이긴 하지만 부작용을 최소화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고령자들에게도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회 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지역별 공동체 문화를 형성화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 마련 등의 대책도 검토도 필요하다. 정부와 지자체는 취업자의 은퇴연령 연장, 은퇴자의 재취업 확대, 맞춤형 노인복지 등을 통해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제도와 의식을 재정립하고, 무엇보다 선진국형 노인복지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