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북특사 파견가능성…한미정상회담 '분수령'

북한이 위협과 도발의 명분으로 삼은 한미 군사훈련 종료와 맞물려 한반도 정세전환을 위한 관련국들의 행보가 본격화되고 있다.

북한의 위협이 최근 다소 주춤하는 분위기를 보이는 가운데 한국, 미국, 중국이 연쇄접촉을 통해 국면 전한을 시도하고 있다.

한·미·중 3국은 지난달부터 고위급 접촉을 이어왔다.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은 지난달 12일 서울에서, 13일 베이징에서 각각 한미,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개최했다.

이어 중국 6자 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방미, 지난달 22일 미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회동했다.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도 2일 베이징에서 만난다. 이를 위해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1일 출국했다.

임 본부장은 지난달 1일 워싱턴을 방문해 데이비스 대표와 회동한 바 있다.

한·미·중 3국은 이런 고위급 연쇄 접촉을 통해 한반도 정세의 안정화 방안에 대해 집중 협의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정세 전환을 견인한다는 차원에서 지난해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로 중단된 비핵화 대화 재개 방안 등에 대한 의견도 교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대화의 조건'을 놓고 관련국간 구체적인 협의가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북한의 도발과 관련된 국제사회의 제재에 중국이 동참하면서 껄끄러워진 북중 관계도 정상화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관측이 계속 나오고 있다.

중국이 고위급 특사를 북한에 보낼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정부 소식통은 1일 "북한이 중국의 특사를 받느냐가 한반도 정세전환의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다"면서 "북한이 중국 특사를 수용한 것은 대외 관계 개선에 나선다는 의미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한반도 정세 전환의 속도와 방향은 북한의 태도에 달렸다.

이런 점에서 도발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북한의 위협 수위가 최근 이전보다 낮아진 것은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된다. 그러나 정세 변화를 위한 대화 탐색전에 진입하려면 북한의 더 적극적인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미국 내에서 "북한과 대화하려는 사람들의 씨가 말라 버린 분위기"(정부 고위관계자)로 전해진 상황에서 냉각기가 길어질 가능성도 여전히 있다.

이런 측면에서 개성공단 사태의 향방이 1차 방향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잔류 인원 채널을 통한 남북 협의에서 공단이 정상화될 수 있는 돌파구가 마련된다면 한반도 정세 전환 움직임도 탄력을 받게 되지만 반대로 개성공단이 폐쇄 수순으로 들어간다면 한반도 정세 해빙은 좀처럼 점칠 수 없게 된다.

워싱턴에서 7일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나올 대북 메시지도 주목된다. 한반도 정세변화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개성공단 사태의 진행 방향에 따라 한미 정상의 대북 메시지는 상당히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북한은 당분간 주변국 움직임을 관찰하는 가운데 다음 수순을 검토할 전망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