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비례대표 축소 또는 현행" vs 야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야, 20여분만에 회동장 나서…비례대표 선출방식 대립

선거구획정 15일 예비후보 등록 때까지 마무리 안될 우려 커져

 

(동양일보) 여야 지도부는 6일 오후 대좌해 내년 4·13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 기준을 협상했지만 아무런 소득을 얻지 못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만나 '지역구수 일부 확대와 비례대표 일부 축소'라는 공감대를 토대로 이를 보완할 방안에 대해 논의했으나 새정치연합이 요구하는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연동제에 대해 새누리당이 거부 의사를 명확히 하면서 불과 20여분 만에 성관없이 회동을 끝냈다.

앞서 이들은 지난 3일 회동에서 19대 총선에서 지역구수를 늘리는 대신 비례대표를 줄인다는 기본 방향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이날 회동에서는 비례대표 선출방식에 대해선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새누리당 측은 권역별 비례대표제, 이병석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 중재안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지역구-비례대표 연동제'에 반대 의사를 명확히 하면서 지역구를 7석 늘리고 그만큼 비례대표를 줄이는 안을 요구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또 만약 지역구 증원에 합의해줄 수 없다면 현행 비율(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을 유지하는 수밖에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자 새정치연합 측은 "새누리당이 비례대표제 취지를 구현할 대안을 만들어오지 않았다"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새정치연합은 또 독일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등을 예시하면서 비례대표를 더 늘리거나 최소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 지도부는 선거구 획정 기준에 대한 협상 시한을 정기국회가 끝나는 9일로 정한 상태이지만, 이날 회동에선 다음 회동날짜조차 기약하지 못하고 헤어졌다.

양측 모두 현재로서는 기존 입장에서 양보할 생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결국 15일로 예정된 정개특위 활동 시한과 총선 예비후보 등록 개시일까지 합의안을 만들지 못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이병석 정개특별위원장이 제안한 연동제는 현재의 권력구조와 맞지 않는 만큼 받을 수 없다고 했다"면서 "못 받으니 새로운 제안을 하지 않겠다. 현행대로 선거구를 획정하자고 했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또 "지역구 숫자가 변화하는 만큼 비례대표 숫자를 줄여 조정하자는 게 일관된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우리가 게임의 규칙상 도저히 받을 수 없는 안을 전제조건으로 내세우는 것은 곤란하다"면서 "합의가 안 되면 현행대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여당에서 변화된 것을 가져오지 않으면 만나봐야 뭐 소용이 없는 상황이 됐다"면서 "새누리당이 자기들 안을 만들어야 하는 만큼 (협상에 진전이 없는 것은) 여당의 책임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안을 다 내놨는데, 그것이 여당의 반대에 부딪혔기 때문에 더 이상 (협상을 진행할 수 없다)"면서 "여당이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선거구획정 기준의 합의안 도출을 위한 여야 '2+2 회동'에서 마주 앉아 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