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영 논설위원·영동대 교수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개발하는 미래형 도시다. 공공기관을 수용하여 기업·대학·연구소와 공공기관이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혁신여건과 수준 높은 주거·교육·문화 등의 정주환경을 갖추게 된다.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고 낙후된 지방 경제를 지역 특화발전을 통해 활성화하고자 혁신도시가 시작되었다. 국가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정부는 2005년 이후 수도권에 소재하는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고, 10개의 혁신도시를 건설하는 지역발전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소의 논란은 남아있으나 대부분의 공공기관이 이전완료하고 활발하게 혁신도시가 조성되고 있으며, 새로운 도시 활력소로서 작동하고 있다. 부지 확정이후 10년, 그간의 여러 갈등을 뒤로 하고 공공기관이 지역에 자리잡고 지역민과 함께 새롭게 출발한다 하니 감회가 새롭다.

초기에 논의되어 왔던 혁신도시의 바램이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지, 국토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혁신도시인지, 이전공공기관이 지역과 함께 만들어가는 상생도시인지 짚어보아야 할 때이다. 10년전 우리가 함께 만들자던 혁신도시는 공통적으로 몇가지 방향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10년 혁신도시의 성공적 완성을 위해 되짚어보자.

혁신도시는 이전 공공기관과 연관 기업을 중심으로 지식기반 테크노파크를 만들고 있는가? 기업과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지역 산업구조를 고생산성, 고부가가치형 산업구조로 개편하는 계기를 마련하자. 산학연 프로그램 공동추진, 대학 연구개발과 교육프로그램 참여 강화, 지역인제 할당제 확대 등 혁신도시의 각 주체는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 정부는 이를 위한 제도를 제대로 마련하여 진행하고 있는지 스스로 확인해 볼 일이다.

혁신도시는 창조도시를 선도해야 한다. 도시 고유의 훌륭한 역사문화전통과 사회경제적 환경을 융합시켜 도시 독창성을 마련하는 계기이길 바란다. 문화정책을 산업정책과 도시정책에 융합하여 나가야 한다. 다양하고 수준높은 문화공간 조성과 창의적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도시품격을 높여 나가는 계기로 삼자고 이야기 했었다.

혁신도시는 친환경도시이어야 한다. 도시의 건강성을 찾기 위해, 인간과 환경이 공존하는 에코폴리스는 도시 생태계의 순환성을 촉진하고 물질의 리사이클과 에너지 절약, 쾌적한 주거환경을 목표로 한다. 공공기관들은 저탄소 에너지절약형 도시를 만드는데 앞장서야 한다. 녹색도시 기법을 실천하여 녹색기업으로서의 이미지 제고와 지역에서의 역할을 보여주어야 한다. 보다 압축적 개발을 지향하는 친환경도시는 토지소비를 줄이고 농경지, 공원, 주거지 및 보전공간을 늘려야 한다. 혁신도시 주거지는 에너지절약, 자원이용, 친환경, 지역과의 공생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환경공생단지로 알려지길 기대한다.

혁신도시는 주민과 소통하고 함께하는 소통도시이어야 한다.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은 이전기관 직원들과 이주가족에게 애정어린 손길과 따뜻한 마음을 당부한다. 원만한 지역정착을 돕기 위해 교육과 문화생활을 지원하는 다양한 방책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예상되는 교육이니 문화생활 등 제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전 기관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역상생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문화행사에 능동적으로 나서주길 바란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지역주민을 보듬는 일에도 앞장서서 지역사회에 녹아 들어가야 한다.

그간 혁신도시 마다 적지 않은 문제로 주민간, 주민과 지자체간에 갈등도 있었다고 들었다. 이제 혁신도시가 본격적으로 안착하고 도시 전역으로 그 파급효과를 확대해 나가야 하는 시점이다. 지자체와 주민, 그리고 혁신도시의 여러 주체들 모두가 서로 어우러지는 치유책, 화합하고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에 적극 나서야 한다.

새로운 혁신도시가 저성장시대에 지역에 활력을 불러일으키고 상생의 도시를 만드는데 기여하길 바란다. 시민이 참여하는 도시, 기업과 지역이 함께하는 도시는 혁신도시를 만든 이유이자 결과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