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업무 소통 스타일은 업무 협약이 대세이다. 이른바 MOU(양해각서) 체결이다. 기관 단체간의 업무 협조 약속을 하고 이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지방자치제 이후 변화된 트랜드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업무 협약(MOU)은 말 그대로 검토 대상일 뿐 강제적 이행 사항이 아니다. 계약에 앞서 검토된 사항을 기록한 기업간의 업무 협약은 도의적 책임은 있을 수 있으나 법적 책임은 없다.
기업과 기업간의 업무 제휴를 하기위한 수단으로 MOU를 체결했었다. 자본 투자 유치 협상에서 흔하게 맺던 MOU제도가 이제는 행정기관에도 버젓이 들어와 안착한 상태이다.
그러나 업무협약을 큰 일이 성사된 것 처럼 대대적으로 홍보를 하고 있는데다 일반 주민들은 이 언론 보도만 보고 마치 그 협약이 이루어진 것 처럼 믿어버린다는데 커다란 문제가 있다.
이런 협약이 보은군 기관간 일자리 창출에도 쓰여져 관심거리가 되고있다. 이시종 충북지사와 정상혁 보은군수가 참여한 7개 기관 업무협약을 군정 대화 자리에서 협약을 하고 발표를 했기 때문이다.
이 협약이 구두선으로 그치지 않고 실타래 처럼 얼키고 설킨 일자리 문제를 풀어 나간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하지만 일반 협약처럼 아니면 말고식 행정이 되지 않을 까하는 노파심에서 우려를 제기하는 것이다. 부족한 농촌 일손을 해소하고 기업체 근로자 일자리 창출이 기관간의 업무 협약으로 해결이 된다면 아무런 걱정이 없다.
따라서 일반화된 업무협약보다 시대적 페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가는 행정체계 수립이 필요하다. 뒤 늦게 수습을 하기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보은군은 이제 하드웨어 보다 소프트웨어에서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 사회복무연수원을 유치하여 보은군 농산물을 공급하기로 했으나 생산이 되지 않으면 납품을 할 수 없는 것이다. 현재 농협 쌀과 축협의 고기 납품이 고작일 뿐 1년 내내 판매할 만한 농산물이 생산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대형 유통업체서 거래를 할 수 밖에 없는데 군민들은 불평 불만만 늘어 놓고 있다. 실익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보은군은 우진플라임이나 보은산단, 속리산 법주사, 사회복무 연수원등을 활용한 수익 창출구조를 창조해 내야 한다. 농업군인 만큼 농업 생산물 구조를 과감하게 혁파하고 농산물 생산과 납품을 체계화하여 보은군 농민들이 혜택을 볼 수 있는 제도적 틀을 재 정립해야 한다.
이것이 선행되지 않는한 농업군의 위상은 흔들리게 되어있다. 잇다른 선거 후유증으로 인해 군민들 간에 골만 깊게 패어 있다. 이를 수습하고 사회적 공동체를 건설하여 불만 여론을 잠재우고 화합하는 보은군을 만들어 가는 행정 시스탬이 필요한 시점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