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장미 취재부 기자

우리나라는 헌혈의 대부분을 10~20대 학생·청년층에게 의존하는 기형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 저출산으로 청년인구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처럼 기형적인 구조를 바꾸지 않는 이상 혈액난이 만성화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다.

지난해 충북지역 헌혈자는 8만9342명으로 2015년 9만9627명보다 1만285명 감소, 2년째 하락세를 타며 시민들의 활발한 헌혈 참여를 필요로 하는 상황 이다. 2016년 도내 전체 헌혈자 중 88.2%는 16~29세 젊은 층이었다. 이렇게 전체 헌혈자의 상당수가 10~20대다 보니 저출산의 여파는 헌혈에 미쳐 결국은 전체 헌혈자 감소로 이어진다.

대한적십자사 충북혈액원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전체 헌혈자 중 30세 이상 중·장년층은 1만9524명(21.8%)이었다. 2014년엔 1만7072명, 2015년 1만7729명으로 헌혈에 참여하는 중·장년층이 해마다 늘어나고는 있지만 헌혈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젊은 층의 감소 폭이 너무 커 그 차이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충북 혈액원은 중·장년층의 헌혈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기업 및 단체와 헌혈릴레이 캠페인 등을 실시하고 있고, 헌혈의 집 운영시간은 오후 8시까지로 늘렸지만 기형적인 구조는 여전하다.

공무원들에게는 헌혈활성화를 위한 ‘헌혈 공가 제도’가 있지만 이를 활용하기에는 현실적인 제약과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 관계자의 말이다.

보건복지부는 중·장년층 헌혈 활성화를 위해 헌혈 공가 제도를 공공기관까지 확대하고 이후 민간기업까지 단계적으로 넓힌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하지만 헌혈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서 이 같은 제도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는 미지수다.

기형적인 헌혈 구조로 인한 혈액난 만성화를 막기 위해서는 중·장년층의 활발한 헌혈 참여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그들이 적극적으로 헌혈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각종 제도적 개선과 헌혈에 대한 인식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기형적인 헌혈 구조를 해소, 보다 안정적인 혈액 수급체계를 갖추기 위해 헌혈 인식 개선, 헌혈약정단체 확대, 인센티브 확충 등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