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충청과 강원, 호남 정치권이 ‘강호축 개발’에 한목소리를 냈다고 한다.

해당지역 시·도지사와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동조를 이끌어내 ‘강호축’ 개발 논리는 일단 성공적인 출발을 예고한 셈이다.

‘강호축’ 개발은 이시종 층북도지사의 ‘전매특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2015년 국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국토의 X축 개발과 관련해 발언한 내용에 더한 개념이 ‘강호축’이다.

그 뒤 호남권과 충청권, 강원권 시·도지사와 지역구 국회의원 공동건의문 채택과 공동선언문 발표에 이어 세미나 개최 등 수많은 노력을 기울여 ‘강호축’ 개념을 정립했다.

‘강호축’ 개발은 신개념 경제모델로도 삼을만하다는 평가나 나온 끝에 국가계획 반영까지 요구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마땅한 이슈가 없는 상황에서 ‘강호축’ 개발 문제는 정치권에서 이해관계에 따라 ‘대동단결’이 가능한 호재일 수밖에 없는 형국이 돼버렸다.

국토부 고위 관계자가 개인적 판단이라며 ‘유력한 개발 구상’이라고 평가했다고 하니 입맛에 맞는 모양이다.

이 관계자는 또 ‘국토개발 5개년계획 기본구상에 신선한 충격과 변화를 제시하는 패러다임’이라고 했다니 향후 일정이 호재로 작용될 것이라는 판단이 든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속 깊은 곳에는 KTX세종역 설치와 호남선 단거리 노선을 주장하는 이들의 행보가 관심거리다.

이럴 때일수록 정신을 바짝 차리고 정치·행정적 드라이브를 잘 걸어야 한다.

과거 정치인들이 선거 때마다 외쳤던 충북도내 발전을 위한 공약들 가운데 아직도 시작도 못한 사업이 수두룩하다.

박달재와 다릿재 터널도 꽤 오랜 세월을 지난 뒤에야 완전 개통됐고, 3~4시간이 걸렸던 조치원과 제천을 잇는 충북선철도도 1시간여대로 주파한지가 얼마 되지 않았다.

그동안 도민들은 정치권 인사들의 ‘공약(空約)’에 속고 또 속는 연속이었다.

한동안 충북지역을 떠들썩하게 했던 KTX세종역 설치 문제와 오송역을 제외시키는 호남선 단거리 노선 주장은 충북선철도 고속전철화사업 예타 면제 카드로 인해 잠잠해져가는 모양새다.

모처럼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강호축’ 개발 논리가 도민들을 현혹시킨다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도내 정치권과 도민 모두가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