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종옥 충북농기원 친환경연구과 버섯팀장

전종옥 충북농기원 친환경연구과  버섯팀장
전종옥 충북농기원 친환경연구과 버섯팀장

[동양일보] 버섯은 균류(菌類) 중에서 대형 자실체(子實體)를 형성하는 무리의 총칭을 이르는 말로 우산 모양을 이루는 것이 많고 주로 그늘진 땅이나 썩은 나무에서 자란다. 포자를 이용해 번식하는데 먹을 수 있냐 없느냐에 따라 식용버섯과 독버섯으로 나뉘며 독성의 유무, 맛과 냄새에 따라 정해진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요 식용버섯은 표고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목이버섯, 양송이버섯 등으로 미네랄, 무기질, 단백질이 풍부해 우리 몸에서 유익한 작용을 한다. 하지만 독버섯은 독성분으로 인해 몸속 장기에 영향을 미쳐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자생 버섯 1900여 종 중에서 식용버섯은 400여 종으로 단 21%에 불과하다. 야생 독버섯은 7~10월 사이에 자생하는데 무분별한 채취와 섭취로 매년 중독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식용버섯과 생김새나 서식지, 발생 시기 등이 비슷한 독버섯이라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독우산광대버섯, 알광대버섯은 치명적인 균독소인 ‘아마톡신(amatoxin)’을 함유하고 있다. 그중 독우산광대버섯은 흰색을 띠는 평범한 모양이지만 ‘죽음의 천사’라고 불리며 1개만 먹어도 사망에 이르게 하는 맹독버섯이다. 또한, 알광대버섯에 함유된 아마톡신은 약 10∼15mg으로 80kg의 성인 남성 치사량이 8mg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그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만약 버섯을 먹은 뒤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 반드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병원에 방문할 때 섭취한 버섯을 가지고 가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일반인이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육안으로 구별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버섯 중독 사고 예방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잘 모르는 야생버섯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야생버섯도 인공재배가 되는 것이 있기에 시장에서 구입하는 것이 안전하다.

최근 충북농기원에서는 야생 갈색 팽이버섯을 교배해 인공재배용 고온성 갈색 팽이버섯 6종을 육성했으며 농가에 보급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보통 팽이버섯은 야생 팽나무에 기생해 자라기 때문에 팽나무버섯이라고 하며 겨울철 4∼8℃ 온도에서 자라기 때문에 겨울버섯(winter mushrooms)이라고도 한다. 야생 팽이버섯은 보통 갈색을 띤다. 우리가 흔히 먹는 흰색 팽이버섯은 야생 팽이버섯을 개량한 품종이다.

충북농기원에서 육성한 갈색 팽이버섯은 흰색 팽이버섯과 달리 8∼12℃ 고온에서 재배가 가능해 농가에서는 경영비를 줄일 수 있다. 기능성 영양 성분 베타글루칸 함량이 1.6배나 많다. 또한 아삭아삭한 식감으로 먹을 때 똑똑 끊어져 치아 사이에 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맛남의 광장’, ‘천기누설’ 등 TV 프로그램에 소개가 되면서 현재 우리나라 대형마트에서 판매돼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고 있다.

우리가 주로 먹고 있는 식용 재배버섯은 야생버섯을 수집 후 교배해 인공재배용으로 육성한 버섯으로 야생버섯과 거의 비슷하다. 굳이 맹독 위험을 무릅쓰고 잘 모르는 야생버섯을 채취해 먹을 필요가 있을까? 우리나라의 버섯 재배기술은 세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한다. 안전하고 값이 싼 재배 버섯으로 맛있고 건강한 식탁을 한번 꾸며보는 것은 어떨까?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