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기사를 빌미로 기업에 광고와 협찬을 요구하는 ‘사이비언론(유사언론행위)’로 인한 기업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온라인 매체가 급증하면서 피해 역시 급증하고 있다. 이들 매체는 오너 관련 루머성 기사나 제품·기업에 대해 인터넷 등에 떠도는 루머성 얘기들을 모아 자극적인 기사를 작성하곤 업체에 연락, 광고와 협찬을 강요하고 거절하면 2~3차에 걸쳐 지속적으로 악의적인 기사를 게재한다.
2일 정부 집계에 따르면 10년 전인 2005년 인터넷신문은 286개에 불과했으나 이후 급증, 2009년 1000개를 넘어섰고 2013년 말에는 4916개에 달했다.
지난해 1000여개가 늘어나며 현재는 6000개를 넘어섰다. 매일 3개 안팎의 신생 인터넷매체가 도처에서 새로 생겨나는 셈이다.
기업들을 상대로 실태조사를 했더니 기업 대부분이 유사언론행위로 인한 피해를 입은 경험이 있었고, 이로 인해 지출되는 비용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같은 사이비언론이 횡포를 부릴 수 있는 배경에는 네이버와 다음카카오 등 국내 대형 포털의 책임이 크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다.
한국광고주협회가 국내 500대 기업에서 일하는 홍보담당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 ‘2015 유사언론행위 피해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90%가 유사언론행위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최근 1년간 유사언론행위로 인한 피해경험이 있는 기업은 87%에 달했다. 이는 앞서 지난 5월 발표된 조사에서 피해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86.4%보다 더욱 늘었다.
유사언론사가 기업에 광고·협찬을 요구할 때 가장 빈번하게 이용하는 보도유형으로는 기업관련 부정기사의 반복게재가 87.4%로 가장 많았다. 경영진의 이름과 사진 노출도 79.3%, 사실과 다른 부정적 이슈와 연계가 73.6%로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신문들이 ‘막강한 횡포’를 부릴 수 있는 배짱에는 네이버·다음카카오 등 대형 포털의 책임도 크다고 분석한다.
인터넷 신문은 그 자체로 영향력이 크지 않지만 포털과 뉴스검색 제휴를 통해 검색화면에 기사가 노출되면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로 둔갑하기 때문이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9.8%는 유사언론행위가 나타나는 원인으로 포털을 지목했다.
근절방안으로도 ‘포털에서 유사언론의 퇴출 및 기사제휴 중단’(23.0%)을 가장 먼저 꼽았다.
포털은 그동안 이들의 자극적 기사에 힘입어 이용자들을 자사 포털로 끌어왔다. ‘실시간 검색어’ 등을 통해 ‘도배’를 양성한 것도 포털의 책임이 크다.
사이비 인터넷매체들의 ‘유사언론행위’ 피해가 잇따르자 정부도 ‘신문법 시행령’ 개정을 검토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상시 취재인력 2명을 포함해 취재·편집인력 3명만 확보하면 얼마든지 등록할 수 있게 했던 것을 5명 이상으로 늘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언론이란 허울을 쓰고 범죄를 저지르는 사이비언론과 인터넷 포털의 돈벌이를 앞세운 뉴스 제공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 방지와 언론에 대한 신뢰 하락을 차단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언론의 진입장벽 강화와 포털 운영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