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임상연구병원 설립 연구용역 완료
경제적 타당성 높아 정부 설득 작업 추진

▲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 설립 위치도

충북도가 청주 오송에 서울대병원 R&D(연구개발) 임상연구병원의 오송 유치에 본격 나선다.
도는 14일 충북학사 서서울관 소회의실에서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 설립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은 KAIST, 생명공학연구원, 오송첨단의료재단 등 국내외 다양한 혁신기관과 기업이 개발 중인 신약에 대한 임상시험 수행을 목적으로 한다.
도는 2027년~2030년까지 8000억원을 들여 지하 2층∼지상 10층, 500병상 규모의 이 병원을 건립한다는 구상이다.
주요 기능은 의학·사회·학문적 이슈 해결을 위한 기초연구를 비롯해 병원 기반 희귀 난치질환과 스마트 메디케어 실증연구, 암·희소 질환·장애인·노인 관련 특성화 진료, 대기업·VC사 사업화 지원 등이다.
충북도가 염두에 둔 이 병원 운영기관은 서울대병원이다.
도는 서울대병원과 거점 병원인 충북대·충남대병원과 연계해 중부권 거점 연구 병원의 역할을 하는 한편, KAIST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와 함께 K-바이오 스퀘어를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용역을 진행한 삼정KPMG 측은 "정부와 제약·바이오 기업의 R&D 투자 비중이 지속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신약개발 임상시험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며 "반면 대형 병원의 진료 과중과 연구환경 악화로 임상연구 수행 기반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 설립은 현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대안"이라며 "충청권의 인구 증가, 오송을 경유하는 지방 환자의 유입을 산정했을 때 병상수요 확보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도는 서울대병원 R&D 임상연구병원 유치 계획이 정부의 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에 반영된데 이어 용역결과 설립에 대한 정책적·경제적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정부 설득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복원 도 경제부지사는 "바이오 분야 초격차 기술 확보와 글로벌 선도 수준 달성을 위해서는 글로벌 수준의 R&D 임상연구병원이 설립돼야 한다"며 "이 기능 수행에 최적의 병원인 서울대병원이 오송에 반드시 유치될 수 있도록 용역 결과를 토대로 정부를 설득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지영수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