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시중은행 신규 대출 취급 잇달아 중단...가계대출 '블랙홀' 된 새마을금고 올해 목표치 두 배 초과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이 총량 목표치를 넘어서면서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 등 신규 대출 취급을 잇따라 중단하고 있다.
이에 은행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한 이들이 새마을금고나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 눈을 돌리는 '풍선효과'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가계대출이 총량 증가 목표액을 훌쩍 넘어서면서 은행들은 주담대 등 대출 창구 문을 속속 걸어 잠그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 22일 비대면 채널에서 올해 실행 예정인 주택 구입 자금용 주택담보대출 신규 접수를 중단했다. 타 은행에서 국민은행으로 갈아타는 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 대환대출과 비대면 신용대출 상품도 같은날 신규 접수를 막았다. 하나은행도 25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신규 접수를 제한할 예정이다. 4개 은행 모두 자체 개별 목표를 초과한 만큼 이외 신한·우리은행도 가계대출을 중단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 목표치를 이미 초과한 탓이다. 당국은 앞서 6.27 대책을 발표하면서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증가 목표액을 연초 설정한 규모대비 50%로 축소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올해 들어 이달 20일까지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정책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은 총 7조895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4대 은행이 금융당국에 제출한 올해 목표치 5조9493억원을 32.7%(1조9460억원) 가량 상회한 규모다.
이에 2금융권인 새마을금고에 더욱 몰릴 것으로 전망된다.
새마을금고 가계대출 잔액이 올 들어 4조원 넘게 불어나며 금융당국에 제출한 목표치를 두 배 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의 강도 높은 규제로 은행 등 금융회사가 대출 문턱을 높이는 사이 새마을금고가 공격적으로 주택담보대출 영업에 나선 결과로 분석된다. 지역·서민금융기관인 새마을금고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이어 주담대에만 집중하는 것은 설립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가계대출 잔액은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4조1000억원 증가했다. 2금융권을 통틀어 올해(1~10월) 가계대출 증가 1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실제 새마을금고 가계대출 증가액은 농협(1조6000억원), 신협(1조2000억원), 수협(2000억원) 등 다른 상호금융권을 크게 앞질렀다. 가계대출이 줄어든 저축은행(-3000억원), 보험(-2조3000억원), 여신전문금융회사(-2조7000억원) 등과도 대비된다.
새마을금고의 작년 말 가계대출 잔액은 76조5000억원이었다. 올 들어 10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율은 5.4%를 기록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은 6%대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시중은행은 물론 전 금융권을 통틀어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르다.
금융당국은 지난 2월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율을 경상성장률(3.8%) 이내로 설정하면서 업권별로 차이를 뒀다. 은행권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은 1~2%, 상호금융은 2%대 후반 등으로 정했다. 이에 더해 6.27 대출 규제로 올 하반기 가계대출 공급량은 당초 계획 대비 50% 감축됐다. 새마을금고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이미 연간 목표치를 두 배 이상 초과한 것이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등 기업대출을 줄이는 상황에서 가계대출 영업을 확대하는 게 불가피하다”며 “기존 대출도 투기 목적이 아니라 수분양자의 입주잔금대출 등 실수요자를 위한 대출이 대부분이었다”고 설명했다. 홍승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