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국 부시장 취임 3개월 동안 45명 훈계·주의 처분
일부는 과잉문책… “사기저하 - 일하는 분위기” 엇갈려

강병국 아산시 부시장이 7월 취임 후 45명의 공무원들에게 훈계나 주의 처분을 내려 공무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징계 이유의 대부분은 조례를 늦게 제정한 것에 따른 것으로 이 중에는 정해진 기간이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훈계나 주의 처분을 내려 공무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강 부시장의 강력한 문책성 징계 처분에 복심이 작용했다는 말이 떠돌면서, 불만은 복기왕 시장으로 옮겨 가고 있다.

아산시 감사실에 따르면 지난 20일 현재 조례제정 등의 이유로 훈계를 받은 공무원은 25, 주의 20명 등 총 45명에 달한다. 담당자가 잘못을 했어도 지휘체계를 물어 팀장이나 과장까지 징계 처분을 내려 인원이 대폭 늘었다.

강 부시장은 취임 후 대면 결재를 없애고, 모든 결재를 전자결재로 받은 후 문제점을 찾아 감사실에 처분토록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문책성 징계 처분은 관리자들이 조직을 장악해 더 업무를 챙기라는 뜻이 담겨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차별적인 문책은 조직 분위기를 헤치고 소통을 강조하는 아산시와 상반된다며 공무원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한 공무원은 설명이 필요한 사업의 결재를 전자로만 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똑같은 결재를 국장 및 시장한테 받기 위해서는 다시 자료를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이중으로 고생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무원은 징계 처분 사례 중에는 처리 기간이 남아있는데도 빨리 처리 하지 않았다고 훈계나 주의를 준 것도 있는데 공무원들의 사기를 떨어트린 행위징계로 직원들을 다스리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그는 또 사소한 사안 보다는 굵직한 사업을 꼼꼼히 챙기는 것이 아산시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공무원들의 노골적인 불만 속에서도 강 부시장의 강력한 징계 처분이 아산시 공직분위기를 일하는 분위기로 바꾸고 있다는 좋은 평가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강희복 전 시장 시절보다 느슨해진 공무원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고, 그동안 비리로 얼룩진 아산시 분위기를 쇄신하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도 있다.

강 부시장의 악역이 아산시 발전을 한 단계 끌어 올리는 계기가 되고 있다며 옹호하는 공무원들도 많다.

훈계나 주의를 받은 공무원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이유는 징계처분보다 한단계 낮아 억울하지만 참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훈계 이상의 징계는 1년간 상훈표창이 제한돼 관리자 보다는 당장 승진을 해야하는 6급 이하의 공무원들의 피해가 더 큰 만큼 대상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징계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산/서경석>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