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연계 미래성장동력 거점
외자・민자 유치에 성공여부 달려

충북 경제자유구역(이하 경자구역) 계획이 5년여 동안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결실을 보게 됐다.

도는 경자구역을 세종시와 연계해 미래성장동력 산업인 의약·바이오, IT(정보통신), 기계부품산업을 아우르는 지역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기대감이 큰 만큼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여섯 번 수정 끝 후보지 선정

충북도의 경제자유구역 추진은 지난 2007년 12월 연구 용역에 착수하면서 시작됐다.

2009년 6월 처음으로 ‘경제자유 구역 개발계획(안)’을 지식경제부에 제출했다.

청주국제공항을 축으로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송2산업단지, 청주테크노폴리스, 증평태양광부품산업전문단지 등을 연계해 18.66㎢를 내륙공항형으로 개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정부평가에서 제동이 걸려 계획이 여섯 번에 걸쳐 수정됐다. 이 과정에서 당초 계획이 크게 바뀌고 개발 면적도 25.95㎢에서 10.77㎢로 58%가 줄었다.

정부는 지난 6월 열린 51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에서 경기, 전남은 탈락시키고 충북과 강원에 대해 보완결정을 내렸다. 당시 경제자유구역에 지정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도는 오송생명과학단지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밸리지구’, 청주공항 일대의 ‘에어로 폴리스(복합항공단지) 지구’, 충주의 ‘에코폴리스 지구’로 된 변경계획을 지난달 말 다시 제출했다.

지경부의 보완요구를 충실히 담았다는 평가를 받으며 경제자유구역 성사의 희망을 키웠다.

그러나 ‘바이오밸리지구’ 예정지인 KTX오송역 인근 주민이 반발하면서 무산될 위기에 놓이기도 했다.

결국, 충북도가 ‘바이오밸리지구’에서 역세권(0.8㎢)을 빼고 오송2생명과학단지를 포함하는 대안을 마련, 지경부 설득에 성공을 거뒀다.

◇오송-청주공항-충주 산업벨트 연결

충북경자구역은 오송바이오밸리와 청주공항, 충주를 벨트로 연결하는 것이 핵심이다.

‘오송 바이오밸리’(4.46㎢)는 첨단의료 복합단지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메디컬지구’(1.13㎢), 오송2생명과학단지에 교육·생산·주거·상업시설이 들어서는 ‘리서치&관광·비즈니스지구’로 구성돼 있다.

첨단의료복합단지의 바이오산업 연구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업과 연구소를 집중적으로 유치하고, 외국인 정주지역으로 꾸미겠다는 구상이다.

청주공항을 중심으로는 ‘에어로 폴리스 지구’(0.47㎢)를 만든다는 복안이다.

비행교육, 저가호텔, 헬기운송 등을 중심으로 외자를 유치해 복합항공단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도가 당초 청주공항 일대의 핵심 사업으로 꼽았던 항공정비산업은 이 지구의 부분 사업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경제자유구역의 또 다른 한 축은 충주의 ‘에코폴리스’(5.84㎢)다. 충주는 지난해 3월 세워진 수정계획에서 처음 포함됐다.

도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글로벌 허브를 구축하고 리조트와 바이오 의료를 통한 휴양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도는 이 사업이 성공하면 2016년부터 2단계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청주에 ‘뉴-IT밸리’(1.70㎢), 증평・음성・진천・괴산에 ‘솔라밸리’(8.0㎢)를 조성해 도내 전역을 경자구역 벨트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외국기업・민간자본 유치가 성공의 관건

충북도는 경자구역이 활성화되면 충북이 ‘친환경 BIT 융합 비즈니스 허브’로 발전할 수 있다는 비전을 내놓고 있다.

차세대 발전의 핵심동력인 바이오산업이 집적된 오송과 중부권 관문 역할을 할 청주공항, 기계부품산업이 들어설 충주를 연계하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특히 우수한 외국기업의 유치로 날개를 달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경자구역에서는 외국투자기업의 경우 3년간 소득·법인·취득세 등이 100% 감면되고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과세특례가 적용된다. 외국인 투자유치가 원활할 것으로 기대되는 대목이다. 외국 교육·의료 기관도 유치할 수 있다.

도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생산유발 3조7234억원, 부가가치 1조5441억원, 신규 일자리 창출 3만1995명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전망은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장기화된 상황에서 우수한 외국 기업을 끌어온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기존에 지정된 다른 지역의 경제자유구역이 제 구실을 하지 못하는 것도 이 같은 ‘충분조건’을 마련치 못했기 때문이다.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일도 급하다. 2020년까지 경자구역개발 1단계 사업에 투자할 돈은 민간자본과 국비, 지방비 등 2조2775억원에 이른다. 문제는 이 가운데 무려 90%가 민간자본에 달한다는 점이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의 승부는 우수한 외국 기업을 얼마나 유치하는가에 달려있다”며 “외자와 민간자본 유치에 성공하지 못하면 경제자유구역은 ‘장미빛 청사진’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지영수>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