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기 중 청주시의회 의장

2014년 7월 1일엔 1946년부터 시작해 68년간이나 각기 다른 살림을 해 온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된 청주시가 출범한다.

그동안 세차례나 통합을 추진하다가 물거품이 되었던 것이 지난 6월 27일 청원군민이 주민투표로 통합을 선택한 후, 지난 8월 통합추진공동위원회가 공식 출범하고 통합시의 명칭을 주민 여론조사에 따른 ‘청주시’로 최종 결정함에 따라 2014년 7월 통합 청주시가 장대한 첫걸음을 내딛는다.

또한, 통합추진공동위원회를 지원할 통합추진지원단과, 양 시·군 통합실무단도 출범식을 가졌다.

이처럼 청주·청원 통합이 본격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통합추진공동위원회와 양 시·군 실무준비단은 많은 문제에 봉착돼 고민하고 있다.

그것은 △통합시 청사의 위치선정 문제 △통합시의 지역별 예산배분문제 △통합시에 설치될 구청사의 위치문제 △통합시 행정을 이끌어 갈 행정조직과 직원의 배치문제 △통합시의 의회구성문제 등으로 양 시군이 머리를 싸매고 묘안을 찾는 중이다.

이런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벌써 통합시와 구청 청사의 유치를 위해 분위기조성 작업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통합결정을 위해 이미 청주시·청원군민협의회가 5개분야 39개사항 75개세부사업에 대하여 합의한 상생발전방안 중에는 통합시 및 구청청사와 구청구획 등의 문제는 전문기관 연구용역결과에 따라 결정키로 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통합과 관련하여 그동안 세차례나 실패를 겪었고 지난 6월 힘겹게 행정구역 통합결정을 이루어 냈는데, 전문 용역기관의 연구결과와 통합추진공동위원회의 결정이전에 통합시나 구청 청사위치 문제로 또다시 지역간, 주민간 갈등과 불신의 골이 깊어진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통합 청주시나 구청사의 청사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모두 원칙에 따라야 한다.

모든 일에는 정도(正道)가 있는 것이고 원칙을 지키는 것만이 무소불위(無所不爲)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합문제에서의 원칙이란 이미 양 시·군 대표가 5개분야 39개사항 75개세부사업에 대하여 합의한 상생발전방안에 따라 어느 지역이든 정치적 입김이나 이기적 집단행위를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통합시청사가 들어서는 지역은 물류이동 증가에 따른 소비시장이 형성되어 상권활성화와 교통수단의 발달 등 지역발전의 원동력이 뒤따를 것이기에 청사를 반드시 유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문제는 통합추진공동위원회의 결정에 따르기로 이미 양 시·군에서 합의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으로 청주시는 양 시·군의 인구를 합친 83만 인구에 머물지 않고 수년 내에 이르게 될 100만 인구의 도시로서 자치단체의 면적규모에서는 마산 창원 진해를 이은 두 번째이고, 예산으로는 2조원에 이르는 광역경제권을 이끌어 갈 도시의 청사라면 누구나 통합시 청사에 접근하기가 용이한 것을 비롯하여 행정집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청사를 건립할 수 있는 재정능력과 지역사회에 대한 경제파급성, 국내·외의 대외인지도, 상징성 등 많은 부분에 대한 비교연구와 미래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거쳐 정치적 입김이 완전히 배제된 상태에서 선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바로 청주를 둘러싸고 있는 청원군과 청주시가 통합되면 물류이동을 위한 교통소통과, 행정집행의 파급성 및 효율성, 주민의 행정접근성 등 모든 문제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예산의 배분 문제에 있어서도 청원군민도 통합시의 시민이기에 세출을 위해선 세입을 생각해야 하고, 청원군청과 청주시청 직원이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선 스스로의 경쟁력을 갖춰야 하며, 지방의회 의원들도 5000명 정도가 아니라 3만∼5만명의 주민을 대표할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이미 합의한 상생발전방안을 제대로 이행하는 것이고 그것이 원칙이며, 오늘날 결정은 바로 후세가 평가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