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환경운동연대(이하 연대)는 11일 각 언론사에 ‘국가명승 탄금대 훼손은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라는 보도 자료를 배포하고 충주시장은 당장 공사 중단을 지시하고 해당 공무원에게 그 책임을 물으라고 주장했다.
연대는 보도자료를 통해 충주시가 추석 전부터 문화재청지정 국가명승 42호이자 충북도 지방기념물 4호인 탄금대에 대한 정비 공사를 하면서 열두대 진입로 기존 콘크리트 계단과 열두대(바위)에 나사못을 박고 인조목 계단과 울타리를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바위 여러 곳에 구멍을 낸 후 철근을 넣고 용접까지 했으며 탄금대의 남한강과 맞닿는 절벽에서 자라는 잡목을 대대적으로 베어냈으며 ‘감자꽃 노래비’ 주변의 블록을 철거하고 콘크리트와 다를 바 없는 황토(?)포장을 하려한다고 주장했다.
연대는 비포장 산책로가 전국적인 흐름인데도 불구하고 멀쩡한 보도블록을 뜯어내고 황토길 조성이라는 미명아래 콘크리트처럼 단단한 포장을 하기보다는 흙길로 되돌리는 공사가 되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열두대는 경관이 뛰어난 곳으로 우륵의 예술혼과 임진왜란의 아픔이 서린 곳인데도 불구하고 충주시는 이 사업을 하기 전에 경관과 디자인, 생태, 역사문화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자문회의를 여러 번 열었어야 했는데도 불구하고 단 한 번도 하지 않은 것은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충주시 관계자는 이번 탄금대 정비공사는 문화재청과 문화재위원, 충북도의 계약심사 등을 거쳐 국비 5억3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공사를 시행한 것으로 연대가 주장한 것처럼 바위 여러 곳에 구멍을 낸 후 철근을 넣은 것이 아니라 낭떠러지 옆에 데크를 설치하기 위해 나사못 5개를 박은 것이 전부라는 주장이다.
데크를 설치하기위해 어쩔 수 없는 것이며 이마저도 문화재청의 승인을 받아 설치했으며 열두대를 향하는 보도블록이 망가져 인접해 있는 절과 식당 이용객들의 차량통행이 불가능해 문화재청의 승인을 얻어 친환경소재인 황토를 이용한 포장사업을 벌이게 됐다고 항변했다.
특히 이 사업은 문화재청과 문화재자문위원들의 승인을 얻어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충주시에서 단독적으로 공사를 벌일 수 없는 것이라고 못을 박았다. <충주/박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