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 교명변경을 놓고 그동안 잠잠하던 주장들이 또다시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학교측과 지역의 반목이 야기 될 것으로 보인다.
사태의 발단은 공주대 총학생회장단을 뽑는 중인 지난 20일과 21일 교명변경에 대한 찬반 투표를 총학생회 주관으로 실시, 반대가 72%를 차지하면서 부터다.
실제 공주대 총학생회는 지난 20일과 21일 양일간에 걸쳐 공주대 교명변경에 대한 찬반투표를 진행, 총학생수 9289명중 5974(투표율 64%)이 투표에 참석, 이 중 교명변경반대 4296(72%), 찬성 1678(28%)로 학생들은 압도적인 표차로 교명변경에 대해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사실은 외부에 공표하지 않은 채 학교 홈페이지 열린광장에만 게시되어 있어 또다른 음모론이 있는 것 아니냐며 학교 교수들과 학생, 학교측 관계자들이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것.
공주대는 지난 2007년 교명변경을 추진하다 교과부로부터 지역사회와 동창회 등 구성원의 반대가 있다는 이유로 거부당했던바 있다.
대학은 그러나 교명 변경을 이달로 접어들면서 다시 시도, 시작부터 재학생들의 압도적인 반대로 학내 구성원들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학적의 주인인 재학생들과 동문들은 교명이 변경될 경우 대학의 브랜드 가치가 현저히 낮아져 65년전통의 명문 국립대학에서 하루아침에 이름 없는 대학으로 전락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한 찬반 여부는 이번주 중 대학구성원, 학생대표(165여명) 등 약 10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결정지어질 예정이다.
이와 관련, 공주대 관계자는 “3개대학(충남대·공주대·공주교대) 통합론이 제기되면서 통합 이후로 확정하겠다고 한 것을 교명변경에 대한 이행계획을 또다시 교과부가 물어와 변경 가부에 대한 결정을 하기 위해 추진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관계자는 하지만 민주적인 방법에 의해 추진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서만철 공주대 총장은 지난 2010년도 6월 취임 일성으로 지역주민과 지역의회 등이 원하는 민주적인 방법을 통해 추진하겠다고 한바 있다.
하지만 공주대 구성원들과 지역사회 시민들과 함께 공주대 교명수호비상대책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명변경 추진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공주/류석만>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