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때보다는 덜해”… 이미지는 타격

현대·기아차 리콜 사태의 규모와 일시적으로 소요될 비용이 2009∼2010년 도요타 리콜 사태만큼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5일자 8면>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브랜드 신뢰도 추락에 따른 판매 감소 등 악영향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아직 리콜 비용이 정확히 나오지 않은 것은 전 세계 리콜 규모조차 정확하게 집계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것은 미국에서 판매된 제동등 점등 불량 현대차 7종과 기아차 6종, 커튼에어백 전개 시 천정 내 지지대 이탈이 벌어진 현대차 1종 등 모두 190만대다.

또 국내에서는 제동등 점등 불량인 현대차 3종과 기아차 3종 등 총 11만여 대다.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미국에서 문제가 된 차량은 일부는 국내 공장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된 것이고 나머지는 미국 공장에서 생산된 것이다.

같은 기간에 생산된 같은 차종이더라도 지역마다 판매되는 모델 사양이 다르고 그에 따라 부품도 달라지기 때문에 리콜 대상이 될 전 세계 차량을 일률적으로 계산해 내기는 어렵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실제로 에어백은 미국 공장에서 완성된 부분이어서 국내에서는 발생하지 않은 문제다.

또 투싼 등 미국에서 제동 등 문제가 빚어진 차종 중에 국내에서는 문제가 없어 리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차량도 있다.

정진행 현대차 사장은 지난 4일 “리콜에 따른 비용 등은 아직 정확히 계산되지 않았다”며 “미국 시장에서 사태 장기화를 막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전 세계 리콜 규모가 300만대에 이르고 수리 등에 드는 비용은 1000억원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임은영 동부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한국 이외 지역으로 리콜이 확산할 것을 고려하면 300만대 수준에 이를 것”이라며 “현대차와 기아차의 리콜 비용이 각각 900억원과 40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 전망대로라면 현대·기아차로서는 역대 최대 규모의 리콜이더라도 2009∼2010년 가속페달 결함으로 세계에서 1000만대 이상의 차량을 리콜한 도요타 사태만큼 큰 규모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비용도 지난해 4분기 북미 연비 보상을 위한 충당금이 현대차 2400억원, 기아차 2000억원 등 4400억원이었던 것을 보면 크지 않다.

이 때문에 증권가에서는 북미 연비 보상금처럼 한 분기 실적에 충당금을 반영하면 단기적으로는 실적에 악영향을 끼치겠지만,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가 이성적, 감성적 측면에서 두루 브랜드 가치를 따지는 고가의 소비재인 자동차의 특성상 가속과 제동에 관한 직접적인 문제가 아닐지라도 이번 사태가 불러올 장기적인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차종이 10여 종이고 제조 기간도 4∼5년치나 되므로 규모가 결코 작지 않고 연비 과장 문제에 연달아 터진 일이라 큰 악재”라며 “빠른 진화에 나선 것이 긍정적이기는 하나 이런 일이 잇따라 터지면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자리 잡게 된다”고 지적했다.

윤필중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번 리콜 사태로 현대기아차 판매가 급감하진 않겠지만 작년 연비 사태에 이어 이번 리콜 문제로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도에 악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