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영섭 음성 능산초교장

꽃피는 사월이 왔다. 사월 하면 봄의 절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마다 사월이면 꽃샘추위가 반드시 찾아와 시샘을 부린다.

그러나 그 시샘속에서도 봄꽃은 흐드러지게 피기 시작했다. 수많은 이름 모를 들꽃이나 야생화는 벌써부터 피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골 학교 울타리 사이에 냉이랑, 꽃다지 그리고, 이름 모를 작은 꽃들이 앙증맞게 미소를 날린다.

그때 재잘거리며 지나가는 3학년 아이들이 교장선생님 사랑합니다.”하며 배꼽 인사를 하고 지나간다. ‘! 이 아이들도 바로 꽃이 아니고 무엇이랴.’하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교육자인 내가 자연의 꽃에만 눈이 멀어 내일의 꿈나무꽃을 몰라보다니, 머리가 긁적여 졌다.

이 세상에 무엇보다 귀한 꽃이 사람꽃이 아니고 무엇이랴! 꽃중에는 별의 별 꽃이 다 있다.

봄 하면 제일먼저 엄동설한을 이기고 피는 복수초를 들 수 있다.

어느 시인이 말하길 눈얼음을 깨고 피어나 결코 그 향기를 팔지 않은 채 하나의 사랑에 행복을 먹음고 있어 복수초(福壽草)라 했다. 교육에 몸담은지 어언 40여년이 지난 지금 생각해 보면 아이들을 너무 성급히 몰아 부진 것 같아 후회가 밀려온다.

아이들은 저마다 개성이 다르고 능력도 다르고 태어난 환경도 다르건만 일시에 같은 잣대로 가르친 젊은 교사시절이 반성이 된다.

채송화나 봉숭아꽃은 여름에 피고, 코스모스나 국화꽃은 가을에 피며 심지어 무화과는 꽃도 피지 않으나 달콤한 열매를 맺지 않는가. 그리고 대나무꽃은 몇십년만에 한번 꽃을 피울가 말까 한다지 않는가.

학생들을 가르칠 때 교육자라면 어느 누구하나 소홀함이 없이 개인차를 인정하고 그 학생마다의 적성을 파악하여 가르쳐야 한다.

거기다가 인성과 창의를 겸비한 내일의 인재로 기르기 위해선 교육자의 세세한 손길과 사랑과 정열이 있어야 한다.

꽃도 피지 않은 회양목에 꿀벌들이 잉잉대는 것을 본적있다. 자세히 보니 눈에 뜨일듯 말듯 좁쌀같은 꽃들이 숨어 있었다.

화려한 꽃만 꿀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학생들도 학력이 우수하다고 반드시 인성이 우수한 것도 아니고, 학력이 낮다고 후에 성공하지 말라는 법도 없다는 것을 언제나 교육자는 가슴에 새겨야 한다.

법정스님의 말씀 중 꽃은 우연히 피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다.

한 송이의 꽃이 피기 위해서는 그 꽃이 피기 위한 수많은 원인과 조건들이 갖추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꽃만 그러 할 것인가? 교육이라는 것이 꼭 그 이치에 딱 들어맞는 말이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하지 않는가? 서두른다고 될 교육이 아니다.

그런데 한가지 간과해서는 안 될 일이 교육을 잘못시키면 인생을 파멸의 길로 이끌 수 있다는 점이다. 양귀비꽃같은 경우 예쁘기 그지없으나 독이 있어 마약에 이용되어 인생을 망칠 수 있음이다.

이근대라는 시인의 시 한 구절을 인용해 본다.

흙에 꽃씨가 미쳤고, 햇볕에 꽃씨가 발악했다. 바람에 꽃잎이 미쳤고, 빗방울에 꽃향기가 폭발했다. 세상에 미치지 않고 피는 꽃은 없다.”

교육자 역시 교육에 미쳐야 내일의 꿈나무인 학생들을 저마다의 향기와 달콤한 꿀로 가득한 꽃으로 활짝 피울 수 있을 것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