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40대 기혼 여성 3명 중 1명은 임신을 시도하고도 1년 이상 아이가 생기지 않는 난임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구나 3년 전보다 난임경험률이 6%p 이상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난임 치료 시술비 등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크게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와 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에 따르면 현재 피임을 중단했거나 피임 경험이 없는 20~44세 기혼여성 969명 가운데 32.3%임신을 시도했음에도 최소 1년동안 임신에 실패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 같은 난임경험률은 지난 2009년 같은 조사 당시의 26.2%와 비교해 6.1%P 높은 수준이다.

연령별로는 20~2419.2% 25~2914.2% 30~3422.9% 35~3949.3%40~4471.9% 등으로 여성 나이가 많을수록 난임경험률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에 따라서는 직장을 가진 기혼여성의 난임경험률이 36.0%로 비취업 상태(29.3%)보다 6.7%p나 높았다.
또 동 단위의 도시 거주 기혼여성(31.4%)보다는 이외 읍·면 지역 여성(38.3%)이 난임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난임을 경험한 기혼여성 가운데 실제로 양방 병원에서 난임 때문에 진찰받은 비율은 31.5%였고, 다시 이 중 63.9%가 난임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

난임 진찰을 받은 기혼여성의 49.4%, 그 남편의 75.0%은 특별한 난임의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였다. 파악된 원인은 여성에서 나팔관 장애(19.3%)·배란장애(16.7%)·자궁내막 장애(10.8%), 남성에서 정자무력증(10.4%)·무정자증(8.5%) 등이었다.

난임 진단을 받고도 치료에 나서지 않은 약 36%의 기혼여성에게 이유를 묻자 58.5%가능성이 없어 보여서라고 답했고, 다음으로 많은 13.2%경제적 부담을 배경으로 꼽았다.

정부의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해 난임치료를 받은 여성 68.4%는 정확히 알고 있었지만, 31.6%는 일부만 파악하고 있었다. 특히 난임치료를 받다가 중단한 여성의 17.4%는 아예 이 지원사업 자체를 전혀 모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난임 진단을 받고 시술비 지원사업도 인지하고 있는 기혼여성 10명 가운데 8명은 이 사업의 출산율 상승 효과에 대해 긍정적(매우 도움 40.7%+조금 도움 40.7%)으로 평가했다.

전체 난임 경험 기혼여성들(20~44)은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의 개선 사항으로 난임 치료비 지원금액·횟수 확대(39.5%), 난임치료 건강보험 적용(31.8%) 등을 요구했다.

김승권 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혼여성들의 난임 경험, 진단, 치료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현재의 난임 진단·치료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지원 대상 확대는 물론 지원 수준 향상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