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타당성 검토 최종 용역보고회… 주민여론조사 60% “긍정적”
공주시가 시설관리공단 설립을 위해 잰걸음에 나섰다.
지난해 기준으로 천안시와 보령시 등 전국 77개 시·군이 시설공단을 운영해 경영합리화를 꾀하고 있는 가운데 공주시 또한 민간위탁 시설의 관리전환을 통해 예산절감 등의 효과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공단 설립을 통해 △3~10%의 예산절감 효과 △인건비 증액 압력 감소 △기술성 및 효율성 제고 △전문화 △운영비 감소 △수익운영 시스템 도입 △공무원 조직의 탄력적 운영 △서비스 질 향상 등을 기대하고 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유서시설물 통합관리 및 표준화된 행정서비스의 필요성과 민간성과주의 시스템 도입 및 각종 시설의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공단 설립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더구나 지난 3월 실시된 전화여론조사에서 60%에 가까운 시민들이 공단설립을 환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설관리공단 설립 추진에 탄력을 받고 있다.
다만 몇몇 시의원들은 △공공성 저해 △방만한 운영 우려 △조직불안 △보편적 서비스의 선택적 서비스 전환 등을 문제 삼아 부정적인 입장이다.
또한 89명인 관리 인원이 96명으로 7명 늘어나는 것에 대해서도 부정적이다.
시설관리공단 설립 타당성 검토 결과 4개 시설이 공단 위탁 대상에 포함된 가운데 한옥마을 22명, 나래원 12명, 공공하수처리시설 43명, 가축분뇨처리시설 12명 등 현재 근무인력은 89명이다.
시설공단으로 전환될 경우 이사장을 중심으로 △경영지원팀 △관광복지사업팀 △환경1팀 △환경시설2팀 등 4개 팀에 일반직은 3급 2명, 4급 10명, 5급 7명, 6급 13명, 7급 2명이다. 기능직은 5급 2명, 6급 21명, 7급 9명, 무기계약 11명, 기간제 18명 등 모두 96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하수 및 가축분뇨처리시설이 공단으로 관리 전환할 경우 부가가치세와 영업이윤 등 최소 6억원 이상의 비용절감을, 나래원과 한옥마을의 경우는 공격적 마케팅이 가능해 영업이익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고객에 대한 서비스 질도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는 올 연말 시설관리공단 설립을 목표로 오는 6월과 7월 주민공청회와 충남도와 협의를 거친 뒤 조례제정 및 직원채용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공주/류석만>
동양일보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