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 대학들이 교육부의 9월 정부 재정지원 및 학자금대출 제한 규정을 강화할 방침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가 취업률 등 9개 지표 평가 때 하위 15% 대학에는 정부지원 방침을 제한할 것으로 알려져 관련 대학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8일 대전·충남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교육부는 재학생 충원율, 취업률, 교원 확보율, 등록금 인상률 등의 지표를 분석해 이달 중으로 기존 경영부실 대학의 재지정 여부와 신규 경영부실 대학을 지정할 예정이다.
2014학년도 수시모집(9월) 전에 발표해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어느 대학이 부실대학인지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대학들은 교육부가 최근 발표한 경영부실 대학 평가계획에 따라 자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상황을 점검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과거에 경영 부실대학으로 선정된 경험이 있는 대학들은 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해 경영부실 대학으로 선정된 배재대는 지난 1년 동안 다양한 자구책을 마련했다며 올해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2011년 경영부실 대학으로 선정됐던 대전대와 목원대도 그동안 구조조정을 성실히 진행한 만큼 차분히 결과를 기다린다는 입장이다.
배재대 관계자는 "학생들의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모든 교직원이 노력했고 교원 확보율, 장학금 지급률 등 지표 관리도 꾸준히 한 만큼 올해는 부실대학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것이 확실시 된다"고 자신했다.
부실대학으로 선정된 경험이 없는 대학들도 긴장감이 높기는 마찬가지.
대전지역 대학 관계자는 "부실 대학으로 지정된다는 것은 사실상 퇴출 대학으로 낙인찍히는 것과 다름없어 신입생 확보 등에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며 "교육부의 발표만 기다릴 수 없어 애꿎은 평가 지표만 체크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래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