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대책’ 마련
세종시에 2개 대학 캠퍼스가 들어서고 도시형 첨단산업단지와 종합병원이 세워지는 등 자족 기능이 크게 강화된다.
국토교통부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14일 경제관계장관 회의를 통해 이런 내용의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 종합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이번 대책에 따라 세종시에 입주사업 계획을 제출한 카이스트(KAIST), 고려대, 충남대, 한밭대, 공주대 등 5개 대학 가운데 2곳을 올해 내로 선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세종시에 2개 대학이 문을 열면 3000명의 직접고용 창출과 2만명 정도의 인구유입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70만㎡ 규모 도시형 첨단산업단지를 개발하고, 지식산업센터(아파트형 공장)를 지어 벤처기업에 싸게 분양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1만여명 고용창출과 연간 1조400억원 생산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행복도시에 입주하는 민간 투자자에게 토지대금 무이자 할부, 수익성 토지와 패키지 공급, 원형지 토지 공급 등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500병상 규모 종합병원과 의료 분야 연구개발(R&D) 기능을 갖춘 첨단병원도 들어선다. 500병상 규모 종합병원이 들어서면 26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3500명의 고용창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이마트와 홈플러스 등 용지를 확보한 대형 마트는 연내 착공해 예정대로 내년 말 문을 열고 호텔, 백화점, 공공기관 등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필요시설도 지속적으로 유치할 방침이다.
특히 국토부와 행복청은 이번 대책이 세종시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입, 지역경제 활성화 토대가 될 수 있도록 행복청에 투자유치 전담팀을 신설하고, 국무조정실 중심으로 투자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충재 행복도시건설청장은 “민간투자자에 대해 토지대금 무이자 할부 등이 가능토록 연말까지 토지공급 지침을 개정하고, 내년 초까지 재정 지원의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자족기능 확충의 핵심인 투자유치 활동은 다음 달부터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래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