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유형 절반 이상이 ‘폭행’
가해학생 늘지만 전문 상담교사 배치 ‘미비’
최근 3년간 전국 초·중·고교의 학교폭력 가해학생이 두 배로 껑충 뛰었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지난해 학교폭력 문제를 일으킨 학생이 3년 전보다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안민석(민주당) 의원이 전국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 받아 공개한 ‘최근 3년간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폭력 가해학생은 3만8466명으로 3년 전인 1만9949명보다 92.8% 증가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가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초등학교 가해학생은 지난해 2390명으로 지난 2010년 657명의 3.6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학생은 1만4179명에서 2만6622명으로, 고등학생은 5113명에서 9453명으로 각각 1.8배 늘었다.
가장 흔한 학교폭력 유형은 ‘폭행’이다.
지난해 발생한 학교폭력 1만9058건 가운데 53.0%가 폭행이었고, 공갈(금품갈취) 9.3%, 협박 6.1%,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4.5%, 명예훼손·모욕 4.4% 등이었다.
가해학생 선도방법은 서면 사과가 1만893건(21.2%)으로 가장 많았고, 특별교육 이수·심리치료 9852건(19.2%), 학교봉사 8936건(17.4%), 사회봉사 6237건(1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학을 보내거나 퇴학 처분을 내린 학생은 각각 2923명과 171명이었다.
학교폭력 가해학생은 매년 급증하고 있지만, 교내 전문 상담교사를 배치한 학교는 지난 3월 기준 전국 1만1360개 초·중·고교에 1581명으로, 배치율이 13.0%에 그쳤다.
강원(7.4%), 전북(7.4%), 전남(7.7%), 제주(8.2%), 세종(5.09%) 등 5개 지역은 전문상담교사 배치율이 한자리에 그쳤다.
안 의원은 “대통령이 학교폭력을 성폭력·가정폭력·불량식품과 함께 ‘4대 악’으로 규정했지만 학생·학부모의 불안감은 여전히 높다”며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전문 상담사를 증원하고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