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7일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안 3가지 중 하나로 문·이과 완전 융합안을 제시함에 따라 이 체제에서 핵심이 되는 '사회'와 '과학' 과목에 관심이 쏠린다.

완전 융합안은 수학은 문과 수준으로, 사회 영역은 '사회' 과목을, 과학 영역은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 평가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선택형 수능 체제에서 문과 학생은 사회탐구만을, 반대로 이과 학생은 과학탐구만을 편식 공부한다는 비판이 제기돼 학생이 균형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방안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새로 수능 과목으로 편입되는 '과학'은 지난 2011학년도부터 일부 고교에 도입된 '과학' 교과서를 보면 내용을 알 수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과학' 교과서는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등 기존에 개별적으로 나뉜 과목을 한 데로 모은 융합형 교과서다.

크게 '우주와 생명', '과학과 문명'으로 구성된 이 교과서는 '우주의 기원과 진화', '태양계와 지구', '생명의 진화', '정보통신과 신소재',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에너지와 환경' 등의 주제로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의 개념을 복합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고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기획됐으나 생소한 내용이 적지 않고 한 과목을 여러 교사가 번갈아 가며 가르치는 번거로움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2014학년도에 도입되는 '사회' 교과서는 '과학'과 비슷하게 사회 분야의 내용을 주제별로 통합해 기술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사회에 포함되는 과목은 2009 교육과정 기준으로 '한국 지리', '세계 지리', '경제', '법과 정치', '사회·문화' 등이다. '한국사'는 사회 영역에서 분리돼 필수과목으로 지정되므로 제외된다.

동아시아', '세계사' 등 역사 교과와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등 윤리 교과는 현재 '사회' 과목에 들어 있지 않다.

문·이과 완전 융합안이 표방하는 취지에도 학교 현장의 적응 문제, 학생들의 학습 부담 강화, 사교육 조장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특히 '사회'와 '과학'은 과목 수로는 두 과목에 불과하지만 이 과목들이 다루는 범위가 '사회'는 5과목, '과학'은 8과목이어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김무성 한국교총 대변인은 "융합적 사고의 방향은 맞지만 가르칠 여건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가 문제"라며 "교사의 수업부담은 점점 커지고 학생은 학교에서 충분히 배울 수 없으면 사교육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