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전문가 “섣불리 수시 지원 말고 냉정하게 판단해야”

지난해보다 다소 어려웠던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이 남은 수시 2차 모집에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수능 성적이 좋으면 정시에, 예상보다 나쁘면 수시에 도전하라는 공식처럼 수험생들이 체감하기에 어려웠던 수능인 만큼 정시까지 기다리지 않고 11일부터 시작되는 수시에서 승부를 보겠다는 수험생들이 증가한 것이다.

10일 입시학원가에 따르면 수능이 끝난 직후 학원에는 수시 대학별 논술고사에 응시해야 하는지, 수시 2차 원서접수를 해야 하는지를 묻는 수험생과 학부모 문의가 쇄도했다.

입시업체들은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등급 커트라인과 주요 대학 합격점수 추정치를 내놓았지만 예년과 비교하기 어렵고 특히 수준별 A/B형으로 나뉜 첫 수능인 만큼 따져야 할 것이 많기 때문에 자신의 위치를 가늠하기 어려워 정시까지 가기 불안하다는 것이다.

입시 전문가는 “수학과 영어 B형이 어렵게 출제돼 상위권에서도 시험을 못 봤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많다”며 “상당수가 수능 후 치러지는 논술·구술면접을 보러 가거나 수시 2차에 새로 원서를 넣겠다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하위권은 A/B형 동시 반영 대학의 경우 영어 B형 5등급 이하가 A형 1등급보다 불리할 것으로 보여 B형 응시생을 중심으로 정시를 포기하고 수시로 반드시 가겠다는 학생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런 분위기 속에 수시 대학별 고사 응시율도 지난해보다 상승하고 있다.

성균관대는 논술고사 응시율이 지난해 60%에서 올해 65%, 숭실대는 55%에서 70%로 상승했다.

한 수험생은 “정시에 진학을 생각하고 수능을 치렀는데 가채점 결과 점수가 생각보다 낮아 수시 2차에 원서접수를 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아직 가채점 점수만 있는 상황에서 섣불리 정시를 포기해선 안 된다고 조언했다.

시험이 어렵고 전형이 복잡한 것은 수험생 모두에게 해당하는 사항인 만큼 불안감에 섣부른 선택을 하는 것은 입시의 실패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