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원대는 23일 김명수(한국교원대 명예교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박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 등에 대해 적극 해명하고 나섰다.
교원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김명수 장관 내정자는 1997년 부교수 승진 심사 당시 대표업적 중 하나로 ‘Economic Returns to Hig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를 제출했으며, 해당 전공분야의 3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의 심사를 받아 부교수 승진에 적격한 연구실적물로 인정받았다”며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 간에는 중복게재 혹은 자기표절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의견”이라고 밝혔다.
이어 “제자 논문 표절 의혹을 받은 ‘학교경영계획의 교육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는 김명수 장관 내정자 승진심사에서 활용된 대표 논문 2건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정교수 승진 심사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자료도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일부 언론은 김 후보자가 교수 승진 임용 심사 시, 연구실적물로 제출한 논문이 제자의 논문을 요약한 것으로, 해당 논문을 정교수 승진에 사용한 것은 공무집행방해라고 문제 제기한 바 있다. 또한 새정치민주연합 유은혜 의원은 김 후보자가 부교수 승진 임용 심사 때 본인의 박사논문을 요약한 논문을 제출해 학위 취득 논문을 1회 실적으로 제한한 당시 교육부의 ‘대학교원인사관리지침’을 어겼다고 주장했다.
<조아라>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