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다음 중 맞춤법이 맞는 것에 ○표 하시오.
1. 두 살박이( ) 두 살배기( )
2. 경쟁률( ) 경쟁율( )
3. 초점( ) 촛점( )
4. 멀지 않아 ( ) 머지않아 ( )
5. 오뚜기( ) 오뚝이( )
6. 메세지( ) 메시지( )
7. 바비큐( ) 바베큐( )
*다음 두 낱말이 모두 맞으면 ○표, 틀리면 ×표 하시오.
8. 입찬말 / 입찬소리 ( )
9. 자장면 / 짜장면 ( )
10. 끄나풀 / 끄나불 ( )
11. 얼렁뚱땅 / 엄벙뗑 ( )
12. 멀찌감치 / 멀찌가니 ( )
13. 새벽별 / 샛별 ( )
14. 들락대다 / 들랑대다 ( )
*다음 밑줄 친 단어의 발음이 맞는 것에 ○표 하시오.
15. 수희는 시를 읊고 있을 때가 가장 아름답다.
① 읍꼬 ( ) ② 을꼬 ( )
16. 조선은 민족이 말살되어 가는 형편이었다.
① 말살 ( ) ② 말쌀 ( )
17. 성난 고양이의 등을 쓰다듬지 마세요.
① 쓰다듬지 ( ) ② 쓰다듬찌 ( )
18. 수지의 콧등에는 땀이 송골송골 맺혔다.
① 코뜽 ( ) ② 꼳뜽( )
*다음 밑줄 친 낱말을 읽고 소리 나는 대로 쓰시오.
19. 금융 ( )
20. 곧이어 ( )
* 다음 문장의 ( )안에 들어갈 낱말이 맞게 표기된 것은?
21. “오늘 결혼하는 신부는 어쩜 이렇게 ( ).”
① 예쁘데? ② 예쁘대
22. “우리 앞집에 사는 아줌마는 ( )이 넓어요.”
① 오지랖 ② 오지랍
23. 식물이 광합성을 하여 잘 자라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햇볕을 ( ) 한다.
① 쬐야 ② 쫴야
24. 그는 하는 일 없이 ( )처럼 빈둥거리며 돌아다녔다.
① 놈팡이 ② 놈팽이
25. 대한민국 축구 선수들이 발목을 ( ) 않도록 조심하기를 바란다.
① 접질리지 ② 접지르지
26. 체구가 작다고 그를 ( ) 큰코 다친다.
① 수이보았다가는 ② 쉬이보았다가는
27. 갑자기 쏟아진 비로 겉옷이 ( )젖었다.
① 흥건이 ② 흥건히
28. 친구들의 다툼에 ( ) 끼어들지 마라.
① 어줍잖게 ② 어쭙잖게
29. 아기가 좋은지 ( )을 벌름거리며 웃었다.
① 콧방울 ② 콧망울
30. 봄에 호박을 심기 전에 싹을 ( )
① 티웠다. ② 틔었다.
* 다음 문제를 읽고 맞는 답을 고르시오.
31. 2014년 10월9일은 몇 돌이 되는 한글날인가요?
① 565돌 ② 566돌
③ 567돌 ④ 568돌
32. 한글을 일컫는 말이 아닌 것은?
① 언문 ② 진서
③ 훈민정음 ④ 반절
33. 훈민정음 28자 중 현재 쓰이지 않는 글자는 모두 몇 개인가?
① 4 ② 5
③ 6 ④ 8
34. 다음 중 우리말이 아닌 것은?
① 외래어 ② 고유어
③ 외국어 ④ 토속어
35.‘갈등’은 두 나무가 서로 뒤엉켜 있는 것을 뜻하는데 어떤 나무들인가?
① 칡-등나무 ② 칡-소나무
③ 다래-등나무 ④ 다래-소나무
36. 다음 중 된소리가 없는 것은?
① ㄱ ② ㅂ ③ ㅊ ④ ㄷ
37. 태극기의 4괘 중 땅을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가?
① 건 ② 곤 ③ 감 ④ 이
38. 다음 모음 중 사전찾기에서 가장 늦게 나오는 것은?
① ㅚ ② ㅣ ③ ㅡ ④ ㅒ
39. 외래어의 표기법에서 사용할 수 없는 받침은?
① ㅅ ② ㅂ ③ ㅇ ④ ㅋ
40. 제사의 제물로 놓는 조율이시(棗栗梨枾)에 들지 않는 것은?
① 대추 ② 밤 ③ 감 ④ 사과
41. 속담 ‘썩어도 준치’와 의미가 가장 비슷한 것은?
① 가재 잡고 도랑치기
②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③ 부자는 망해도 삼 년 먹을 것이 있다.
④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42.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올바른 것은?
① 몇일내로 결과를 통보하겠습니다.
② 자식이 안 되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다.
③ 그를 다시 만난 것은 그날 이후 오 년 만이었다.
④ 행사 기간중에는 학교를 개방하기도 하였다.
43. ‘꽁지’로 써야 하는 동물은 어느 것인가요?
① 강아지 ② 말
③ 돼지 ④ 제비
44. 다음 보기 문장의 밑줄친 낱말과 의미가 같게 쓰인 문장은?
<보기>
‘영이는 새로 산 모자를 쓰고 나왔다.’
① 어제는 백화점에서 돈을 많이 썼다.
② 하루 종일 일을 했더니 입맛이 쓰다.
③ 글씨가 보이지 않아서 안경을 고쳐 썼다
④ 편지를 쓰다가 잠이 들었다.
45. 다음 보기 문장의 밑줄친 낱말과 의미가 다르게 쓰인 문장은?
<보기>
“어머니는 냄비에 물을 붓고 찌개를 끓이셨다.”
① 나는 편도선이 부어서 말하기가 어려웠다.
② 아버지는 모판에 배추씨를 열심히 붓고 계셨다.
③ 소년은 사립문에 눈을 부은 채 움직이지 않았다.
④ 내 친구는 은행에 적금을 붓고 있다.
46. 다음 보기 문장의 밑줄 친 낱말과 의미가 비슷한 말은?
<보기>
“너는 네 앞가림도 못하는 터에 남 걱정을 하니?”
① 잠이 막 들려던 차에 전화가 왔다.
② 급한 마당에 주저하고 말고가 없었다.
③ 집에 가려던 참에 초등학교 동창을 만났다.
④ 어제는 눈이 오는 바람에 길이 미끄러웠다.
47. 겹받침의 발음을 소리나는 대로 바르게 적은 것은?
① 넓디넓은〔넙띠널븐〕 바다를 달려가는 생쾌한 기분.
② 머리를 좀 짧게〔짭께〕 깎아주세요.
③ 우리집 마당을 밟고〔밥꼬〕 가지 말아라.
④ 내일 날씨는 맑지〔말찌〕 않을 것 같네.
48. 외래어 표기가 올바른 것은?
① 스카프 ② 리더쉽
③ 로킷 ④ 로보트
49. 부사의 끝음절을 잘못 적은 것은?
① 의젓이 ② 급급히
③ 엄격히 ④ 틈틈히
50. 다음 낱말 중 ‘사이 ㅅ'의 쓰임이 모두 바른 것은?
① 수꿩-숫개 ② 뒷풀이-뒷뜰
③ 노랫말-혼자말 ④ 대가-이점
51. 다음 보기의 낱말은 어떤 시간을 말하는가?
<보기> 해포
① 일 년이 조금 안 되는 기간
② 일 년의 기간
③ 일 년이 조금 넘는 기간
④ 일 년 반이 지난 기간
52. 밑줄 친 낱말이 잘못 쓰인 것을 고르시오.
① 힘이 부치다.
② 편지를 부치다.
③ 스티커를 부치다.
④ 부채를 부치다.
53. 밑줄 친 낱말 가운데 띄어쓰기가 바르게 된 것을 고르시오.
① 이른바 윗사람들부터 각성해야 한다.
② 나는 어머니께서 이른바를 잘 알고 있다.
③ 꽃 처럼 아름다운 아기여.
④ 이 가을엔 꽃 구경 가자.
54. 다음 짝 지은 낱말 가운데 맞춤법이 맞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때굴때굴-데굴데굴 ② 짜장면-자장면
③ 쇠고기-소고기 ④ 늴리리-닐리리
55. 보기의 문장에서 ( )안에 맞는 표현은 어느 것인가?
<보기>
"이 책을 부모님께 ( ).
① 받칩니다 ② 받힙니다
③ 바칩니다 ④ 밭칩니다
56, 본디말과 준말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누구의=뉘 ② 여기있다=옛다
③ 이에요=예요 ④ 요즈음=요즘
57. 둘 이상의 낱말을 합쳐서 지은 이름이 아닌 것은?
① 해솔 ② 꿈여울
③ 봄햇살 ④ 새롬
58. 다음은 보기는 어느 낱말에 대한 사투리인가?
<보기>
[뿔새, 농오리, 나부리]
① 뻐꾹새 ② 오리
③ 노을 ④ 나비
59. 다음 중 기본형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끄는 - 끌다 ② 움직여 - 움직이다
③ 흩어져 - 흩어지다 ④ 조심스레 - 조심하다
60. 다음 중 앞에 글자 ‘수’를 붙였을 때 뒤의 글자가 거센소리로
바뀌지 않는 것은?
① 소 ② 개
③ 돼지 ④ 닭
초등
*다음 문장에서 틀린 낱말을 골라 바르게 고치시오.
61. 물이 너머 수도꼭지를 잠갔다.
( )
62. 어머니는 미소를 띄우고 말씀하셨다.
( )
63. 오늘 영화관을 가던가 말던가.
( )
64. 윗어른을 만나면 공손히 인사를 하거라.
( )
65. 왠 험상궂게 생긴 사람이 날 따라오더라.
( )
* 다음 뜻에 맞는 낱말을 고르시오.
66.‘자신의 직무 외의 행위로서 다른 사람의 생명이나 재산의 위급한
재해를 구하다가 사망한 사람. ’
① 선구자 ② 의사자
③ 희생자 ④ 봉사자
67. ‘해와 지구 사이에 달이 들어가서 일직선으로 되는 때 ’
① 삭 ② 망
③ 월 ④ 일
68. ‘약간 상한 채로 말라서 희끗희끗하게 얼룩진 고추’
① 희나리 ② 비나리
③ 비수리 ④ 희아리
69. ‘말이나 행동이 바르고 점잖다. ’
① 방정맞다 ② 방정하다
③ 방정스럽다 ④ 경망하다
70. ‘스님이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
① 수도원 ② 사당
③ 가람 ④ 성당
*다음 문장의 띄어쓰기 할 부분에 V표를 하시오.
71.내힘이닿는한너를도와주도록할게.
72. 변덕이죽끓듯하다.
* 다음 문제를 읽고 맞는 답을 고르시오.
73. ‘상순’, ‘중순’, ‘하순’의 ‘순’은 어느 정도의 기간을 말하는가?
① 7일 ② 10일
③ 15일 ④ 49일
74. 독서 감상문을 쓰는 방법 중 틀린 것은?
① 인물의 말이나 행동을 바탕으로 쓴다.
② 인물에게 하고 싶은 말을 바탕으로 쓴다.
③ 줄거리를 중심으로 쓴다.
④ 기억에 남는 장면을 바탕으로 쓴다.
75. 명사형 어미 ‘-(으)ㅁ’을 결합한 것이다. 잘못 표기된 것은?
① 살다-삶 ② 날다-낢
③ 하다- 핢 ④ 만들다-만듦
76. 다음 단위와 개수가 맞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바늘 한 쌈-50 개
② 연필 한 다스-12 개
③ 굴비 한 두름-20 마리
④ 마늘 한 접-100 개
77. 다음은 숫자를 이르는 토박이 낱말입니다. 연결이 잘못 된 것은?
① 온-100 ② 즈믄-1000
③ 골-10000 ④ 잘-100000
78. 삼강오륜의 ‘장유유서’와 관계가 없는 사이는?
① 어른과 어린이 ② 할아버지와 손자
③ 선생님과 학생 ④ 남편과 아내
79. 다음 중 그 유래가 동물과 관련이 없는 사자성어는?
① 삼고초려 ② 주마가편
③ 형설지공 ④ 새옹지마
80. 우리 음식을 이르는 낱말이 아닌 것은?
① 고두밥 ② 머드러기
③ 주전부리 ④ 단술
81. ‘아띠’는 순 우리말입니다. 무슨 뜻일까?
① 친구 ② 좋은
③ 사랑 ④ 아름다운
82.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은 사례입니다. 어울리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내비게이션.....길도우미
② 네티즌...........누리꾼
③ 멘토...............길잡이
④ 오프라인.........가상공간
83. 저고리 위에 덧입는 우리 옷이 아닌 것은? )
① 조끼 ② 배자
③ 마고자 ④ 토시
84. ‘초겨울 처음 오는 묽은 서리’의 뜻을 이르는 낱말은?
① 무서리 ② 무녀리
③ 무꾸리 ④ 무텅이
85. ‘비나리치다’의 뜻을 올바르게 표현된 것을 고르시오.
① 말이나 행동이 경솔하고 들뜨다.
② 아첨을 하면서 남의 비위를 맞추다.
③ 잠시 비를 피하여 그치기를 기다린다.
④ 성이 나서 퉁명스럽게 말한다.
86. 다음 낱말을 사전에서 찾아볼 때 맨 마지막에 나오는 단어는?
① 뚝깔 ② 크낙새 ③ 해설피 ④ 칡덩굴
87. 다음 단어를 사전에서 찾을 때 잘못된 것은?
① 붙었다-붙다 ② 잠갔다-잠그다
③ 부었다-붓다 ④ 날아갔다-나르다
88. 다음 중 바르게 읽은 것이 아닌 것은?
① 값나갈 - 갑나갈 ② 굳이 - 구지
③ 닫힌 - 다친 ④ 닮아 - 달마
89. 다음 중 비유적 표현의 효과가 아닌 것은?
① 눈에 보이는 것처럼 생생하다.
② 느낌이 더욱 확실하다.
③ 여러 가지 느낌이 한 가지 느낌 같다.
④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같이 나타낸다.
90. 다음 중 바르게 읽지 않은 것은?
① 이렇게나 - 이러케나 ② 옷고름 - 옷꼬름
③숫제-숟쩨 ④ 꽃다발 - 꼳따발
91. 다음 중 반대말이 잘못된 것은?
① 아군-적군 ② 예리한-아둔한
③ 절대-결코 ④ 가끔-자주
92. 띄어쓰기 표기가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십여 년간 ② 다섯 뭉치
③ 열 사람 ④ 육 학년
93. 다음의 표현을 우리말로 하면 어느 것일까?
*중국-웨이웨이 * 프랑스-알로 *일본-모시모시 * 미국-헬로우
① 고마워 ② 잘 자
③ 여보세요 ④ 사랑해
94. 우리나라를 ‘삼천리 금수강산'이라고 부르는데, 이 ‘삼천리’란 무엇을 뜻하는가?
① 삼천 개의 산봉우리 ② 한반도의 길이
③ 해방당시 한반도의 인구 ④ 삼천 개의 마을
95. 밑줄 친 말이 표준어가 아닌 것은?
① 가게 점원은 여전히 딴청을 피우고 있었다.
② 영희는 연신 옷고름으로 눈물을 닦아 냈다.
③ 아이를 그곳에 혼자 보내는 것이 꺼림직했다.
④ 사범이 널빤지 다섯 장을 겹쳐 놓고 격파하였다.
96. 다음 영어 단어를 우리글로 표기한 것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file → 파일 ② mask → 마스크
③ juice → 주스 ④ badge → 뱃지
97. ‘점잖다’의 작은 말을 쓰시오.
( )
98. 다음 단어를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영어로 바꾸시오.
‘독도’ ( )
* 다음 소리를 듣고 맞는 답의 번호를 쓰시오.
99. <듣기> 맞는 발음고르기.
100. <듣기> 장단음 고르기.
중고등부
*다음 문장에서 틀린 낱말을 골라 밑줄을 긋고 바르게 고치시오.
61. 그 대회에는 내노라하는 선수들이 모두 나왔어요.
( )
62. 전통 씨름에서 밧다리는 중요한 기술이다.
( )
63. 시간이 넉넉지 않으니 시간을 허송지 마라
( )
64. 그 맵시의 옷에 그 색깔은 옥의티이다.
( )
65. 가을 숲길을 촉촉히 적시는 가랑비가 내렸다.
( )
* 다음 뜻에 맞는 낱말을 고르시오.
66. ‘혀가 굳어서 뻣뻣하다’
① 설강하다 ② 강장하다
③ 무감하다 ④ 통미하다
67. ‘뱃사람들의 은어로, ‘남풍’을 이르는 말’
① 된새바람 ② 샛바람
③ 마파람 ④ 하늬바람
68. ‘덜 마른 장작’
① 희아리 ② 희나리
③ 비나리 ④ 비수리
69. ‘가게의 문을 닫을 즈음’
① 장마 ② 해거름
③ 해포 ④ 들마
70. ‘무한히 길고 오랜 세월’
① 무량 ② 광천
③ 억겁 ④ 무변
*다음 문장의 띄어쓰기 할 부분에 V표를 하시오.
71. 내말안들었다가는후회할걸.
72. 적어도내가아는한에는그는그런짓을할사람이 아니다.
* 다음 문제를 읽고 맞는 답을 고르시오.
73. ‘삭망’의 뜻과 관련이 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 상중에 있는 집에서, 죽은 이에게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지내는 제사.
③ 달이 해와 지구 사이에 들어가 일직선을 이루는 때.
④ 삭망월은 달의 음력 초하루에서 다음 초하루까지를 말한다.
74. 다음은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차려 정성을 표하는 의식을 표현하는 제사의 종류이다. 잘못된 것은?
① 죽은지 3일 만에 지내는 제사....천도제
② 매년 죽은 날에 올리는 제사....기제사
③ 음력 10월에 먼 조상의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시향제
④ 명절날 낮에 지내는 약식(略式) 제사....차례
75. 명사형 어미 ‘-(으)ㅁ’을 결합한 것입니다. 잘못 표기된 것은?
① 살다-삶 ② 날다-낢
③ 가다-갊 ④ 만들다-만듦
76. 다음 수나 양의 단위가 맞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콩 한 말 .........스무 되
② 쌀 한 되..........1.8 리터
③ 금 한 쌈..........100 냥쭝
④ 바늘 한 쌈.......24 개
77. 다음은 숫자를 이르는 토박이 낱말입니다. 연결이 잘못 된 것은?
① 온-100 ② 즈믄-1000
③ 골-10000 ④ 잘-100000
78. 삼강오륜 가운데 친구와의 예절을 강조한 것은?
① 부자유친 ② 붕우유신
③ 군신유의 ④ 부부유별
79. ‘고생 속에서도 꾸준히 공부하여 얻은 보람’을 이르는 말로 관계가 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 손강영설 (孫康映雪) ② 형설지공(螢雪之功)
③ 차윤취형(車胤聚螢) ④ 안빈낙도(安貧樂道)
80. 우리 음식을 이르는 낱말이 아닌 것은?
① 남새 ② 머드러기
③ 주전부리 ④ 젓국지
81. ‘산다라’는 순 우리말입니다. 무슨 뜻일까요?
① 굳세고 꿋꿋하다 ② 날아오르다
③ 꿈을 꾸다 ④ 좋은 친구
82.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은 사례입니다. 어울리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롤모델...........본보기상
② 홈페이지........누리집
③ 아젠다............의제
④ 소셜 커머스.....반짝구매
83. 다음 우리말 중 명사(이름씨)가 아닌 것은?
① 미투리 ② 모가비
③ 바투 ④ 방짜
84. ‘일이나 글의 가장 중심되는 줄거리’의 뜻을 이르는 낱말은?
① 벼리 ② 몽니
③ 물초 ④ 보꾹
85. ‘비나리치다’의 뜻을 올바르게 표현된 것을 고르시오.
① 말이나 행동이 경솔하고 들뜨다.
② 아첨을 하면서 남의 비위를 맞추다.
③ 잠시 비를 피하여 그치기를 기다린다.
④ 성이 나서 퉁명스럽게 말한다.
86. 다음 낱말을 사전에서 찾아볼 때 맨 마지막에 나오는 단어는?
① 옛날에 ② 왠지
③ 외갓집 ④ 의사
87. 다음 단어의 으뜸꼴이 잘못된 것은?
① 불어난다-붇다 ② 붙였다-붙다
③ 부었다-붓다 ④ 부쳤다-부치다
88. 밑줄 친 고유어의 뜻풀이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그는 아무 말도 없이 노량으로 걸음을 걸었다 → 동작이 재지 못하고 매우 느린 모양
② 여럿이 모인 중에도 친구는 헤살을 부렸다. → 남을 웃기려고 일부러 하는 말이나 몸짓
③ 그들이 하는 일에는 항상 가탈이 많이 생긴다. → 일이 순조롭게 나아가는 것을 방해하는 조건
④ 아이는 주눅이 들어 선뜻 입을 열지 못했다. → 기운을 제대로 펴지 못하고 움츠러 드는 태도나 성질
89. 불교의 장례의식으로 시신을 불사르는 의식을 가리키는 말은?
① 열반 ② 아미타
③ 다비 ④ 사리
90. 보기의 고사성어가 공통으로 지칭하는 신체부위는?
<보기> 〔고장난명, 여반장, 박장대소〕
① 손바닥 ② 손가락
③ 손톱 ④ 레옹
91. 한복에서 다음 보기의 명칭과 관련된 옷은?
<보기> [ 회목, 수눅, 코, 부리 ]
① 버선 ② 저고리
③ 마고자 ④ 두루마기
92. 다음 한자성어와 관련된 동물은?
<보기> [ 오합지졸, 반포지효, 오비이락 ]
① 오소리 ② 왜가리
③ 까치 ④ 까마귀
93. '구설수에 오르다'에서 '구'와 '설'은 무엇일까?
① 신문과 잡지 ② 입과 혀
③ 칼과 도마 ④ 산과 언덕
94. 모순(矛盾)이란 말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두 가지 기구로부터 유래된 말입니다. 무엇일까요?
① 칼과 창 ② 창과 방패
③ 총과 칼 ④ 총과 방패
95. 옥스퍼드 영어사전 개정판에 우리말이 실렸습니다.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으로 정의된 이 단어는?
① 마루(maru) ② 부뚜막(buddumak)
③ 온돌(ondol) ④ 찜질방(jjimjilbang)
96. 다음 영어 단어를 우리글로 표기한 것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Accessory 액세서리 ②Gondola 곤돌라
③Brush 브러시 ④ Alcohol 알콜
97. ‘게으르다’의 작은 말을 쓰시오.
( )
98. 다음 단어를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영어로 바꾸시오.
‘월악산’ ( )
* 다음 소리를 듣고 맞는 답의 번호를 쓰시오.
99. <듣기> 맞는 발음고르기.
100. <듣기> 장단음 고르기.*다음 문장에서 틀린 낱말을 골라 밑줄을 긋고 바르게 고치시오.
61. 그 대회에는 내노라하는 선수들이 모두 나왔어요.
( )
62. 전통 씨름에서 밧다리는 중요한 기술이다.
( )
63. 시간이 넉넉지 않으니 시간을 허송지 마라
( )
64. 그 맵시의 옷에 그 색깔은 옥의티이다.
( )
65. 가을 숲길을 촉촉히 적시는 가랑비가 내렸다.
( )
* 다음 뜻에 맞는 낱말을 고르시오.
66. ‘혀가 굳어서 뻣뻣하다’
① 설강하다 ② 강장하다
③ 무감하다 ④ 통미하다
67. ‘뱃사람들의 은어로, ‘남풍’을 이르는 말’
① 된새바람 ② 샛바람
③ 마파람 ④ 하늬바람
68. ‘덜 마른 장작’
① 희아리 ② 희나리
③ 비나리 ④ 비수리
69. ‘가게의 문을 닫을 즈음’
① 장마 ② 해거름
③ 해포 ④ 들마
70. ‘무한히 길고 오랜 세월’
① 무량 ② 광천
③ 억겁 ④ 무변
*다음 문장의 띄어쓰기 할 부분에 V표를 하시오.
71. 내말안들었다가는후회할걸.
72. 적어도내가아는한에는그는그런짓을할사람이 아니다.
* 다음 문제를 읽고 맞는 답을 고르시오.
73. ‘삭망’의 뜻과 관련이 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 상중에 있는 집에서, 죽은 이에게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지내는 제사.
③ 달이 해와 지구 사이에 들어가 일직선을 이루는 때.
④ 삭망월은 달의 음력 초하루에서 다음 초하루까지를 말한다.
74. 다음은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차려 정성을 표하는 의식을 표현하는 제사의 종류이다. 잘못된 것은?
① 죽은지 3일 만에 지내는 제사....천도제
② 매년 죽은 날에 올리는 제사....기제사
③ 음력 10월에 먼 조상의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시향제
④ 명절날 낮에 지내는 약식(略式) 제사....차례
75. 명사형 어미 ‘-(으)ㅁ’을 결합한 것입니다. 잘못 표기된 것은?
① 살다-삶 ② 날다-낢
③ 가다-갊 ④ 만들다-만듦
76. 다음 수나 양의 단위가 맞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콩 한 말 .........스무 되
② 쌀 한 되..........1.8 리터
③ 금 한 쌈..........100 냥쭝
④ 바늘 한 쌈.......24 개
77. 다음은 숫자를 이르는 토박이 낱말입니다. 연결이 잘못 된 것은?
① 온-100 ② 즈믄-1000
③ 골-10000 ④ 잘-100000
78. 삼강오륜 가운데 친구와의 예절을 강조한 것은?
① 부자유친 ② 붕우유신
③ 군신유의 ④ 부부유별
79. ‘고생 속에서도 꾸준히 공부하여 얻은 보람’을 이르는 말로 관계가 없는 것을 고르시오.
① 손강영설 (孫康映雪) ② 형설지공(螢雪之功)
③ 차윤취형(車胤聚螢) ④ 안빈낙도(安貧樂道)
80. 우리 음식을 이르는 낱말이 아닌 것은?
① 남새 ② 머드러기
③ 주전부리 ④ 젓국지
81. ‘산다라’는 순 우리말입니다. 무슨 뜻일까요?
① 굳세고 꿋꿋하다 ② 날아오르다
③ 꿈을 꾸다 ④ 좋은 친구
82.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은 사례입니다. 어울리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롤모델...........본보기상
② 홈페이지........누리집
③ 아젠다............의제
④ 소셜 커머스.....반짝구매
83. 다음 우리말 중 명사(이름씨)가 아닌 것은?
① 미투리 ② 모가비
③ 바투 ④ 방짜
84. ‘일이나 글의 가장 중심되는 줄거리’의 뜻을 이르는 낱말은?
① 벼리 ② 몽니
③ 물초 ④ 보꾹
85. ‘비나리치다’의 뜻을 올바르게 표현된 것을 고르시오.
① 말이나 행동이 경솔하고 들뜨다.
② 아첨을 하면서 남의 비위를 맞추다.
③ 잠시 비를 피하여 그치기를 기다린다.
④ 성이 나서 퉁명스럽게 말한다.
86. 다음 낱말을 사전에서 찾아볼 때 맨 마지막에 나오는 단어는?
① 옛날에 ② 왠지
③ 외갓집 ④ 의사
87. 다음 단어의 으뜸꼴이 잘못된 것은?
① 불어난다-붇다 ② 붙였다-붙다
③ 부었다-붓다 ④ 부쳤다-부치다
88. 밑줄 친 고유어의 뜻풀이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그는 아무 말도 없이 노량으로 걸음을 걸었다 → 동작이 재지 못하고 매우 느린 모양
② 여럿이 모인 중에도 친구는 헤살을 부렸다. → 남을 웃기려고 일부러 하는 말이나 몸짓
③ 그들이 하는 일에는 항상 가탈이 많이 생긴다. → 일이 순조롭게 나아가는 것을 방해하는 조건
④ 아이는 주눅이 들어 선뜻 입을 열지 못했다. → 기운을 제대로 펴지 못하고 움츠러 드는 태도나 성질
89. 불교의 장례의식으로 시신을 불사르는 의식을 가리키는 말은?
① 열반 ② 아미타
③ 다비 ④ 사리
90. 보기의 고사성어가 공통으로 지칭하는 신체부위는?
<보기> 〔고장난명, 여반장, 박장대소〕
① 손바닥 ② 손가락
③ 손톱 ④ 레옹
91. 한복에서 다음 보기의 명칭과 관련된 옷은?
<보기> [ 회목, 수눅, 코, 부리 ]
① 버선 ② 저고리
③ 마고자 ④ 두루마기
92. 다음 한자성어와 관련된 동물은?
<보기> [ 오합지졸, 반포지효, 오비이락 ]
① 오소리 ② 왜가리
③ 까치 ④ 까마귀
93. '구설수에 오르다'에서 '구'와 '설'은 무엇일까?
① 신문과 잡지 ② 입과 혀
③ 칼과 도마 ④ 산과 언덕
94. 모순(矛盾)이란 말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두 가지 기구로부터 유래된 말입니다. 무엇일까요?
① 칼과 창 ② 창과 방패
③ 총과 칼 ④ 총과 방패
95. 옥스퍼드 영어사전 개정판에 우리말이 실렸습니다.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으로 정의된 이 단어는?
① 마루(maru) ② 부뚜막(buddumak)
③ 온돌(ondol) ④ 찜질방(jjimjilbang)
96. 다음 영어 단어를 우리글로 표기한 것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Accessory 액세서리 ②Gondola 곤돌라
③Brush 브러시 ④ Alcohol 알콜
공통답안
1. 두 살배기
2. 경쟁률
3. 초점
4. 머지않아
5. 오뚝이
6. 메시지)
7. 바비큐
8. ( ○ )
9. ( ○ )
10. ( × )
11. ( ○ )
12. ( ○ )
13. ( × )
14. ( ○ )
15. ① 읍꼬
16. ② 말쌀
17. ② 쓰다듬찌
18. ② 콛뜽
19. ( 굼늉 또는 그뮹 )
20. ( 고디어 )
21. ( 2 )
22. ( 1 )
23. ( 2 )
24. ( 1 )
25. ( 1 )
26. ( 2 )
27. ( 2 )
28. ( 2 )
29. ( 1 )
30. ( 2 )
31. ( 4 )
32. ( 2 )
33. ( 1 )
34. ( 3 )
35. ( 1 )
36. ( 3 )
37. ( 2 )
38. ( 2 )
39. ( 4 )
40. ( 4 )
41. ( 3 )
42. ( 3 )
43. ( 4 )
44. ( 3)
45. ( 1 )
46. ( 2 )
47. ( 3 )
48. ( 1 )
49. ( 4 )
50. ( 4 )
51. ( 3 )
52. ( 3 )
53. ( 1 )
54. ( 4)
55. ( 3 )
56, ( 2 )
57. ( 4 )
58. ( 3 )
59. ( 4 )
60. ( 1 )
초등 답안
61. ( 넘어 )
62. ( 띠고 )
63. ( 가든가 말든가 )
64. ( 웃어른 )
65. ( 웬 )
66. ( 2 )
67. ( 1 )
68. ( 4 )
69. ( 2 )
70. ( 3 )
71. (내V힘이V닿는V한V자네를V도와주도록V할게.)
72. (변덕이V죽V끓듯V하다.)
73. ( 2 )
74. ( 3 )
75. ( 3 )
76. ( 1 )
77. ( 4 )
78. ( 4 )
79. ( 1 )
80. ( 2 )
81. ( 1 )
82. ( 4 )
83. ( 4 )
84. ( 1 )
85. ( 2 )
86. ( 3 )
87. ( 4 )
88. ( 1 )
89. ( 2 )
90. ( 2 )
91. ( 3 )
92. ( 4 )
93. ( 3 )
94. ( 2 )
95. ( 3 )
96. ( 4 )
97. ( 잠잖다 )
98. ( Dokdo )
99. (3)
100. (2)
중고등 답안
61. ( 내로라하는 )
62. ( 밭다리 )
63. ( 허송치 )
64. ( 옥에티 )
65. ( 촉촉이 )
66. ( 1 )
67. (3 )
68. ( 2 )
69. ( 4 )
70. (3 )
71. (내V말V안V들었다가는V후회할걸. )
72. (적어도V내가V아는V한에는V그는V그런V짓을V할V사람이V아니다.)
73. ( 3 )
74. ( 1 )
75. ( 3 )
76. ( 1 )
77. ( 4 )
78. ( 2 )
79. ( 4 )
80.( 2 )
81. ( 1 )
82. ( 4 )
83. ( 3 )
84. ( 1 )
85. ( 2 )
86. ( 4 )
87. ( 2 )
88. ( 2 )
89. ( 3 )
90.( 1 )
91. ( 1 )
92.( 4 )
93. ( 2 )
94. ( 2 )
95. ( 3 )
96. ( 4 )
97. ( 개으르다 )
98. ( Woraksan )
99. (3)
100.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