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협안 도출 등 실효성은 의문

(동양일보 김동진기자) 충북도와 충북도교육청간 충북지역 초·중고 무상급식 재정분담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충북도가 공개토론회를 통해 타협안을 찾자는 제안을 하고 나섰다.
도는 27일 도교육청에 무상급식과 관련해 공개토론회 개최를 제안한 뒤 구체적인 방법과 시기는 양측 실무협의를 통해 결정하자고 밝혔다.
박은상 도 정책기획관은 이날 언론 브리핑을 통해 "무상급식 비용 분담에 관해 양 기관이 입장 차이로 논란과 혼선을 빚고 있다"며 "공개토론회의 구체적인 방법 등에 관해 조속한 시일 내에 도교육청과 실무협의가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충북도가 제안한 토론회는 객관성·공정성 확보를 위해 유관 사회단체나 언론 등 제3 기관이 주관하고 양 기관이 추천한 2∼3명의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방식이다.
안건은 양측간 이견을 보이고 있는 급식종사자 인건비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 포함 여부 등 예산·회계와 관련된 항목들이 핵심이다.
이같은 도의 제안에 대해 도교육청도 찬성 입장을 밝혔다.
신경인 도교육청 교육국장은 "공개토론회에 응하겠다.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전제한 뒤 "다만 우리가 교육부 답변까지 왜곡해 도민을 속이고 있다고 도청이 주장하는 마당에 이런 공개토론회가 실효성을 거둘지는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신 교육국장은 이어 "(이런 점 때문에) 중립적이고 심판자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충북도의회의 공개토론회가 더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의회는 행정문화위원회 주관으로 8월 중순께 양 기관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공개토론회 개최를 통해 무상급식 재정분담을 해결할 수 있는 양 기관의 합의점 도출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우세하다.
올 초부터 수개월동안 무상급식을 둘러싼 실무협상 등을 지속해 온 양 기관이 공개토론회를 연다고 해서 전격적인 타협점을 찾아내기는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더욱이 공개토론회가 여론 우위를 점하기 위한 양 기관의 전략적 수단으로 이용될 경우 오히려 갈등의 골만 더욱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도와 도교육청은 지난 1월부터 지금까지 7개월 동안 무상급식 재정분담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으며, 갈등의 쟁점은 식품비의 분담 비율이다.
도는 전체 무상급식비 914억원 중 식품비 514억원의 70%인 359억원만 부담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도교육청은 식품비가 아닌 급식비 총액을 50%씩 부담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