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10여편 통해 시인 윤동주 삶 다룬 영화

 

(연합뉴스)일제 시대 식민지 백성으로서 시 쓰는 것 외에 다른 것을 할 수 없었던 자신이 부끄러웠던 시인. 생전에 변변찮은 시집 한권도 출판하지 못했던 시인. 해방된 조국이 가장 좋아하는 시를 쓴 시인. 바로 시인 윤동주의 삶을 다룬 영화가 나왔다.

이준익 감독의 신작 ‘동주’는 같은 해 한 집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촌지간인 윤동주와 송몽규란 두 인물을 통해 일제 강점기 청년들이 느껴야 했던 고민과 울분을 그리고 있다.

동주(강하늘)와 몽규(박정민)는 둘 다 문학을 좋아했던 소년이었다. 하지만 동주는 시를, 몽규는 산문를 좋아했다.

시와 산문의 차이일까, 내성적인 동주와 달리 몽규는 일제에 저항하기 위해 거침없이 행동한다. 19세 나이에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 단체에 가입했다가 옥고를 치르고 요시찰 인물로 일제에 감시당한다.

나란히 연희전문학교에 들어간 동주와 몽규는, 일제가 태평양 전쟁을 막 벌이면서 조선에 대한 수탈의 고삐를 조이자 일본으로 유학길을 떠난다.

어차피 조선에서 조선말로 문학하지 못할 바에는 일본에 가서 제대로 배우기라도 하자는 것이 동주의 생각이었다.

몽규의 속셈은 달랐다. 식민지 조선의 해방을 위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려고 일본에 간 몽규는 그곳에서도 독립운동을 벌인다.

결국 둘은 일본 경찰에 체포되고 후쿠오카 형무소에 갇히게 된다.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는다.

동주는 29세인 1945년 2월 16일 형무소에서 숨지고, 몽규는 그해 3월 10일 동주를 뒤따른다.

영화는 일본 고등형사가 동주와 몽규를 취조하는 장면과 이들의 과거 삶을 번갈아 보여주면서 동주와 몽규의 일대기를 담담하게 보여준다.

하지만 취조 장면과 회상 장면이 마침내 같은 시간대로 들어오는 시점인 영화 후반부에 두 인물의 응축된 감정이 서로 다른 양태로 폭발한다. 영화의 하이라이트다.

영화는 윤동주 시인의 시 10여편을, 동주가 자신의 심정을 내적으로 말하는 형태로 들려준다. 관객은 이를 통해 동주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의 시가 어떤 배경에서 쓰였는지를 알게 된다.

물론 극중 시가 쓰인 시기와 실제 연표상 해당 시가 작성된 시기가 다른 부분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최대한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도록 했다고 이준익 감독은 말했다. 이 영화의 70%가량은 ‘팩트’이고 나머지 30%는 가공의 내용이라는 것이 이 감독의 전언이다.

2월 18일 개봉. 12세 이상 관람가. 110분.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