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일류 명성 뒤엔 풍운아 삶이…

“세돌이 목 뒤에 점 세 개가 있어요. 비금도에서 난 돌 세 개…. 그래서 세돌이래요.”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도의 초등학교 교사였던 이세돌의 아버지 고(故) 이수오씨는 바둑에 조예가 깊었다. 아들의 목 뒤에 삼각형으로 찍혀 있는 점 세 개를 보고 바둑돌이 떠올랐는지 세돌이라는 이름이 잘 어울린다며 만족해 했다고 한다.

1983년 3월 2일 태어난 섬 소년 이세돌은 5남매 중 막내다. 작은 누나 이세나씨는 월간바둑 편집장이고, 큰 형은 프로기사 이상훈 9단이다. 이세돌과 이상훈 9단은 국내 두 번째 형제 프로기사다.

5살부터 바둑을 배운 이세돌은 8살에 아버지의 실력을 뛰어넘게 되자 서울 권갑용바둑도장(현 권갑용국제바둑학교)에서 바둑 유학을 하게 된다.

권 8단은 어린 이세돌을 떠올리면서 “바둑을 참 재밌게 즐기는 친구였다”며 “하수와 두는 것은 별로 안 좋아했다. 당시 1인자 이창호가 도장에 놀러 왔을 때 ‘이세돌과 한 판 둬 줘라’라고 부탁했는데, 이세돌이 그렇게 좋아할 수가 없었다”고 돌아봤다.

이세돌은 12세인 1995년 7월 2일 입단했다. 그리고 그해 제7회 동양증권배 세계바둑선수권대회 예선에서 최창원 5단(당시) 꺾고 첫 승을 거뒀다.

1998년에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시는 큰 슬픔을 겪었다. 아버지의 기일은 이세돌의 생일이기도 하다.

이세돌은 정규 승단대회를 통해 16살이던 1999년 3단으로 승단했다.

그는 3단으로서 2000년 5기 박카스배 천원전에서 생애 첫 우승컵을, 2002년 15회 후지쓰배 세계바둑선수대회에서 생애 첫 세계대회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00년에는 32연승을 달리면서 당해 최다승·최다연승을 기록, ‘불패소년’으로 주가를 높였다.

보수적인 한국기원이 움직였다. 2003년 1월 이른바 ‘이세돌 특별법’이라는 제도개혁에 나선 것이다. 일반기전을 승단대회로 대체하고 주요대회 우승시 승단을 시켜주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했다.

그 직후부터 이세돌은 날개 돋친 듯 상승세를 탔다. 2003년 3월, 그는 LG배 세계기왕전에서 1인자 이창호 9단을 꺾고 우승하며 세대교체를 선언했다. 3단도 6단으로 뛰어올랐다.

같은 해 5월 KT배 준우승으로 7단이 된 이세돌은 7월 제16기 후지쓰배 2년 연속 우승에 성공하며 가장 높은 9단으로 승단했다.

스무살의 나이로 입단 8년만에 ‘입신’(入神) 경지인 9단에 오른 것은 한국기원 최단 기록이다.

이때부터 ‘이세돌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자신이 없어요. 질 자신이” 등 흔히 ‘이세돌 어록’으로 회자되는 말도 이렇게 승승장구한 시기에 나왔다.

이세돌은 2007년∼2008년 연속 상금왕에 오르며 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리고 또 한 번의 파문을 일으켰다.

2009년 5월 프로기사회가 한국바둑리그 불참을 선언한 자신에게 징계를 결의하자 7월 한국기원에 ‘휴직계’를 제출한 것이다. 1인자가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잠적하자 바둑계가 발칵 뒤집혔다.

그리고 그에게 최대의 도전이 찾아왔다.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 알파고의 도전이다.

지난 9일 시작한 대국에서 예상과 달리 그가 3연패에 빠지자 세상은 ‘인공지능의 습격’이라며 큰 충격에 빠졌다.

그러나 그는 기어코 제4국에서 알파고의 항복을 받아내는 데 성공하며 ‘인간 승리’ 감동을 주고 다시 세상의 중심에 섰다.

이세돌은 알파고와 ‘세기의 대국’을 앞두고도 가족을 챙기는 ‘휴머니스트’이기도 하다.

알파고 대국 직전인 6일 중국에서 한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벌써 결혼 10주년”이라며 면세점에서 동갑내기 아내 김현진씨를 위한 화장품을 잔뜩 사고, 캐나다에서 공부하던 딸 혜림양과 다시 만난다며 ‘딸바보’ 미소를 지어 보이던 그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