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도원 충북농업기술원 학예연구사

(동양일보 최도원 기자) 고등학교 1학년, 첫 소풍은 국립청주박물관이었다. 시골에 살다 고등학생 때 처음 박물관에 간 나는 박물관의 모든 것이 신기하고 아름다웠다. 특히 선사시대실을 지나 만난 첫 작품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돌 사면에 빼곡하게 새겨진 작품은 조각이라 보다는 마치 한 폭의 그림 같았다. 그 후 대학에 진학해 한국 미술사 수업에서 그 작품을 슬라이드로 만났을 때 그 기쁨이란 ! 그 작품은 국보 106호 ‘계유명전씨 아미타삼존불비상’이었다. 처음 간 박물관에서 만난 그 아름다운 작품이 후일 학과를 사학과로 정하고 진로를 학예연구사로 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믿는다.

자신의 꿈, 진로라는 것, 이렇듯 사소하지만 인상적인 체험이 영향을 끼친다. 요즘 중학교에는 한 학기 혹은 두 학기동안 다양한 체험을 통해 ‘자신의 꿈’을 찾는 과정인 자유학기제가 있다.

충북농업기술원은 농부의 꿈을 키우는 사람들에게는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교육 기관이다. 농촌진흥기관으로서의 오랜 역사만큼 충북농업기술원은 풍부한 인적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 이 기반을 토대로 만든 사업이 바로 중학교로 찾아가는 ‘자유학년 생생 진로 체험’이다.

이론과 체험을 병행하는 이 진로체험행사는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뜨거운 인기 아이템이다. 2017년에는 10개 학교 1500명이 참여해 학생들의 열렬한 호응은 물론 참여한 강사, 교사, 도 기술원 모두의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이끌어냈다.

2017년 성공 노하우를 살려 올해는 22개 학교 2075명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 편성했다.

자유학년 교육 프로그램은 무형문화재인 낙화장, 사기장, 야장 선생님과의 만남, 성공한 농장주, 문화 콘텐츠 기획가, 농업 박사, 원예치료사 등 다양한 직업에 있는 선생님을 교실에서 만나 이야기를 듣고 직업을 체험 한다는 게 최고 장점이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그릇을 만들기 위해 아이들은 물레 위에 태토를 올려놓는다. 발로 물레를 돌리고 손으로 형태를 만들려고 한 순간 아이의 입에서는 자신도 모르게 ‘헉’ 소리가 나온다. 불에 벌겋게 달아오른 쇠를 야장은 맨 손으로 재빨리 두들겨 모양을 만든다. 아이는 장갑을 끼고 쇠 끝부분만 만졌을 뿐인데도 엄청난 온도에 화들짝 놀란다. 삼십년 이상 자신의 분야에서 한 길을 걸어오신 무형문화재 선생님들의 시연은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단련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걸 온 몸으로 알려주신다.

한 분야의‘전문가’라는 호칭을 얻은 사람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엄청난 노력과 인내의 시간을 겪었다는 점이다.

한국에서 커피를 어떻게 재배 해? 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커피’생산에 성공한 농부, 새로운 식품을 만드는 연구가, 모두 끊임없는 관심과 공부가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충북농업기술원의‘자유학년 생생 진로 체험’이 일선 학교에서 큰 호응을 얻는 건 훌륭한 강사님이 생생하게 전달 해주는 체험 때문이다. 학생들은 직업의 가치, 소중함을 허공에 떠도는 말이 아닌 자신의 경험으로 체득한다. 이러한 경험이 먼 훗날 우리 아이들에게도 진로를 결정하는 인상적인 한 순간이 될 것이라 믿는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말처럼 우리 아이들을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키우기 위한 농업기술원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