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댐=지하수 유지 논리는 원리 모르는 주장”

수문을 개방한 공주보 모습

(동양일보 유환권 기자)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가 내놓은 ‘공주보의 부분해체’ 결과에 대해 많은 시민들이 우려를 쏟고 있지만 오히려 정부결정을 지지하는 목소리도 적잖다. ‘샤이 민심’이다.

김정섭 공주시장도 가뭄에 대비한 대책수립을 전제로 “위원회 결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금강 연안 생물 자원의 보전 및 자연성 회복은 물론 장기적 안목에서 보는 비용편익의 이점이 크다는 뜻이다.

시민들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이를 정략적으로 이용하려는 불순한 정치권의 목소리에 대한 경계도 늦추지 않는다.

공주보는 완전해체를 하지 않고 공도교 통행 기능을 유지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남은 쟁점은 농업용수 부족의 ‘진실성’ 여부와 다리의 안전 및 유지비용 문제다.

지하수 고갈 우려는 우성·의당면과 쌍신·검상동 일대시설하우스 및 축산농가들이 해당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극히 일부의 지하수 고갈은 발생할수 있겠지만 오히려 댐으로 물을 막아야 지하수가 많아진다는 논리는 ‘물의 성격’을 모르는 얘기라고 반박한다.

강과 지하수의 생태적 공존 메커니즘은 강물이 흐르면서 땅 속으로 스며드는 투수(透水)와 순환이다.

하지만 댐과 저수지 밑에는 ‘펄’이 쌓여 딱딱하게 굳는 경화 현상이 발생한다. 물 밑에서 시멘트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물의 지하층 투수를 막아 되레 지하수 공급을 막는다는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현재 우성면 지역 일부 지하수 고갈은 모래채취 등 4대강 사업당시 과도한 준설로 하상이 십수미터 낮아지면서 지하수위도 함께 가라앉아 발생한 현상이라고 진단한다.

특히 하천 위쪽이 낮아지고 지류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그 차이로 유속이 빨라지면서 제방이 눌러 앉는 역행침식까지 발생해 지하수 고갈을 부채질 했다는 것이다.

이같은 논리를 종합해 볼 때 보 해체와 농업용수 부족을 상관관계로 묶기에는 한계가 있다.

토목전문가들이 우려하는 또 하나는 ‘C등급’인 공주보의 안전이다.

공주보의 높이는 7m다. 세계적으로 4m가 넘는 보는 대형 댐으로 분류하는데 댐에는 필수적으로 하천흐름에 의해 수로의 바닥이 침식되는 ‘세굴(洗掘)’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H빔을 박고 수중시멘트를 타설하는 식의 사석보호공(捨石保護工) 공사를 지속해야 한다.

문제는 여기에 해마다 들어가는 비용이 천문학적이라는 점이다.

특히 일반 교각은 그것을 지탱하는 ‘다리’의 간격이 넓어 유속의 저항을 덜 받지만 공주보는 매우 촘촘하게 설계돼 있어 물의 저항을 엄청나게 많이 받는다.

세굴 현상이 심하고 보강공사비의 손실이 지속적으로 급증한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해마다 쏟아붓는 보강공사 비용으로 아예 공주보를 완전 해체한 뒤 튼튼하고 안전한 다리를 하나 새로 놓는게 낫다고 주장한다.

아니면 다리를 안전하게 오래 쓰는 차원에서 기존 제1금강교처럼 대형차량 통행을 제한, 승용차만 운행토록 하자고 제안한다.

이번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의 발표 내용은 올해 7월 국가물관리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공주보 역시 정치적 의도의 개입 없이 지역사회 발전과 자연생태계 보호를 위해 최선의 방안을 찾아 주기를 바라는 시민들의 뜻이 어떻게 반영될지 주목된다. 공주 유환권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