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출목표 500만 달러, 올 6월말 현재 212만7000달러.(42.5% 달성)

이장섭 정무부지사가 7일 충북 농수산식품 수출진흥협의회에서 농식품의 수출감소 우려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동양일보 엄재천 기자)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인해 반도체를 비롯해 정밀기계 부품 등 원자재 마련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농식품 수입규제로 충북의 농식품 수출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7일 충북도에 따르면 올해 수출목표가 5억 달러인데 올 6월말 기준 수출실적은 2억1270만 달러로 목표대비 42.5%라는 것.

전국 도 단위 수출액은 6위로 4.5%를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가 6억6550만 달러(14.1%)로 1위, 경남도 6억2530만 달러(13.2%), 전북도 3억250만 달러(6.4%), 경북도 2억7050만 달러(5.7%), 전남도 2억2140만 달러(4.7%)로 뒤를 잇고 있다.

충북의 농식품 주요수출국은 일본이 7754만3000달러로 36.5%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이 미국으로 2248만2000달러(10.6%), 호주는 1242만2000달러(5.8%), 이스라엘 1072만1000달러(5.8%), 중국 916만달러(4.3%), 러시아 890만6000달러(4.2)로 집계됐다.

이날 충북도는 도청 소회의실에서 농수산식품 수출진흥협의회를 개최했다.

이장섭 정무부지사는 “일본에서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등 수출환경이 급변하고 있다”며 “농식품 술출 분야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어려운 여건 속에서 관계 유관기관, 시군, 농가, 수출기업, 전문가로 구성된 농수산식품 수출진흥협의회 위원들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맹경재 경제통상국장은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가 현실화 되고 앞으로 농식품 수출도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한국의 대 일본 수출규제로 확산된다면 검역규제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민관 합동 점검회의와 시장상황 모니터링 및 수출시장 다변화 등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맹 국장은 “미국도 중국과 한국 등의 개발도상국 지위 박탈을 추진하고 있다”며 “개도국에서 박탈되면 WTO협정내 개도국 우대규정을 적용 받지 못해 관세감축 및 농업보조금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그는 “개도국 지위를 스스로 포기하지 않는 이상 차기 협상까지 현재 농산물 관세율과 수출물류비 등 농업보조금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했다.

농식품의 수출규제에 따른 충북도의 대응은 민관 합동 TF팀(도, 유관기관, 기업 등 40여명)을 구성하고 수출기업 피해신고 센터 설치했다.

경제기업과는 도내 기업 경영자금 특별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맹 국장은 “농식품 수입규제 확산을 대비해 시장규모가 크고 우리 농식품의 선호도가 높은 대안시장(미국, 중국, 베트남 등)을 확보하고 있다”며 “기존 농식품 해외마케팅 다변화 사업을 확대하고 농식품 수출기업 자생력 강화 시책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엄재천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