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박장미 기자]그동안 여성독립운동가들이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이유는 남성 위주 사회에서 독립운동 조직 내 여성들의 활동이 보조적인 것으로 취급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23일 충북미래여성플라자 문화이벤트홀에서 ‘여성사로 새로 쓰는 충북독립운동’을 주제로 ‘2019양성평등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주진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은 ‘여성·역사·기억’ 기조강연에서 “2018년 기준 서훈 받은 여성독립운동가는 357명으로 전체 독립유공자 1만5180명의 2.4%에 불과하다”며 “최초 포상이 실시된 1949년부터 2017년까지에 비하면 크게 는 것이지만 여성들이 남성독립운동가들을 지원했던 활동이 인정되지 않으면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주 관장은 여성들이 역사에 기록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역사는 문자를 통해 경험한 것 가운데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 것만을 기록한 것으로 결국 당시 지배층 남성의 기준에서 가치 있는 것만이 역사의 기록으로 남았다”며 “그들에게 살림을 하는 여성들의 삶은 기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었고, 여성들 자신도 글로 표현할 수 없었기에 기록으로 남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유영선 동양일보 상임이사도 독립운동 역사를 바로 쓰기 위해서는 여성 역할에 대한 관점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충북의 11인 여성독립운동가를 찾은 여정’ 발표에서 “독립운동가 공적을 따질 때 주로 기록이나 직책에 따라 공훈이 가려지는데 총칼을 들고 거사를 도모한 것만 공적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여성들의 활약을 인정해야 한다”며 ““조직 내에 있었으면서도 밥을 하고, 군자금을 모으고, 비밀통신 임무를 맡았던 여성들의 역할 자체가 보조적인 것으로 취급돼 기록이 남지 않은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유 이사는 “여성독립운동가들이 겪었던 성폭력에 대한 문제는 아직도 공론화되지 않고 있다”며 “여성들이 어떻게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어떤 역할을 했는지 남성의 그늘에 묻혀 가려졌던 부분들에 대한 재조명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박걸순 충북대 교수는 ‘충북의 독립운동과 여성독립운동가’ 발표에서 “생몰지와 활동지 등 여러 기준이 있어 독립운동가를 출신별로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여성의 경우 결혼을 한 뒤 남편의 본적을 따라가기도 해 더욱 복잡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성독립운동가의 경우 특수성을 고려해 태생과 혼인으로 인해 취득한 본적을 모두 출신으로 인정해야 한다”며 “충북 출신 남편의 호적과 다르게 기재돼 있는 경우 국가보훈처에 본적지 정정 신청을 해 공훈록 등을 수정해야 하고, 충북 출신이지만 남편의 호적을 따라 다른 지역 인물로 분류된 여성독립운동가도 충북의 인물로 선양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충북 전체의 독립운동을 아우르는 전시관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밖에 좌장을 맡은 정현백(전 여성가족부 장관) 성균관대 사학과 명예교수는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을, 김형목 독립기념관 연구위원은 ‘충북지역 여성근대교육’을, 이임하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가 ‘식민지의 일상을 바꾼 여성독립운동’에 대해 주제발표 했다. 박장미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