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엄재천 기자]◇벼

▶본답 관리

여름철 비가 오는 기간이 많을 경우 일조시간 부족으로 벼가 웃자라 연약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병해충 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

일찍 심은 조생종 벼 이삭거름은 이삭 패기 15일전에 10a당 1.8㎏를 주거나 N-P-K복합비료(18-0-18)의 경우 10a당 10~11㎏을 준다.

산간고랭지, 거름기가 많은 논, 잎도열병이 발생한 논이나 이삭거름 주는 시기에 비가 자주 올 경우에는 질소질 거름은 주지 않고 칼리질 비료만 주어야 한다.

새끼치는 시기 초기는 일반적으로 중기 제초제를 주는 시기이므로 논바닥이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로 물을 유지해야 한다.

이후 잡초 발생 정도를 감안하여 물 깊이를 2~3㎝ 깊이로 얕게 유지하여 참 새끼를 빨리 잘 치도록 한다.

- 이 시기에 물을 깊게 대면 가지치기가 억제되거나 늦어지며 벼가 연약하게 자라서 병해충에 약해진다.

- 헛새끼가 많을 때는 영양분 소비, 햇빛의 차단, 벼 해충 발생 조장 등으로 벼가 연약하고 생육이 불균일하여 도복의 원인이 되어 쌀 생산성 및 품질을 저하시킨다.

일찍 심어 참 새끼치기가 끝난 논은 중간 물 떼기를 실시한다.

중간 물 떼기 시기는 이삭 패기 전 40일부터 30일 사이에 배수가 좋은 사양토는 5~7일간 논바닥에 가벼운 실금이 갈 정도로 하고, 배수가 잘 안 되는 점질토양에서는 7~10일 정도 비교적 강하게 하여 금이 크게 가게 한다.

▶벼농사 집중호우 대비 관리대책

◎사전대책

논·밭두렁, 제방 등이 붕괴되지 않도록 사전점검하고 정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배수로 잡초제거 및 배수시설 정비로 원활한 배수를 유도한다.

집중호우 예보가 있을 경우 미리 논두렁에 물꼬를 만들고 붕괴 예방을 위해 비닐 등으로 피복한다.

침수 상습지 질소질 20~30% 감량, 칼리질 20~30% 증시한다.

◎사후대책

침·관수 논은 서둘러 잎 끝만이라도 물위에 나올 수 있도록 물 빼기한다.

물이 빠질 때는 벼의 줄기나 잎에 묻은 흙 앙금과 오물 제거한다.

물이 빠진 후에는 새물로 걸러대기를 하여 뿌리의 활력 증진한다.

침·관수 논은 도열병, 흰잎마름병, 벼멸구 등 병해충 예방한다.

◇채소

▶노지고추

◎노지 재배

(웃거름) 질소와 칼리 60%는 아주심기 이후 한 달 간격으로 4회에 걸쳐 뿌린다.

- 웃거름 주는 시기와 양은 생육상태에 따라 조정한다.

- 생육부진 포장은 요소 0.2%액을 5~7일 간격으로 1~2회 엽면시비한다.

(점적관수) 시설이 설치된 곳은 800~1200배액의 물 비료를 웃거름한다.

(생육관리) 측지 제거로 통풍과 채광 상태 개선, 터널 환기 등으로 관리한다.

(장마대비) 배수로를 미리 정비해 주고 지주대를 보강한다.

◎주요 병해충 예방과 방제

(역병) 이병주는 일찍 뽑아내고 적용약제를 관주하여 확산 방지한다.

(탄저병) 예방위주 방제, 병든 과실은 발견즉시 제거 후 적용약제 살포한다.

(담배나방) 피해과실은 낙과되므로 8월 중순까지 적용약제 살포한다.

(총채벌레) 바이러스 이병주는 빨리 제거하며, 적용약제 살포한다.

※장마 후 고온기 탄저병과 담배나방 발생이 심하므로 예방 위주로 방제한다.

▶마늘

◎수확요령

- 날씨가 좋은 날 상처가 나지 않도록 수확, 포장에서 2~3일간 건조한다.

- 마늘 뿌리에 붙은 흙을 털기 위해서 호미나 삽 등이나 마늘구 끼리 두드리면 마늘 인편에 상처를 입어 갈변되거나 부패하기 쉽다.

- 수확한 후 건조할 때는 통풍이 잘되고 그늘진 곳에서 건조한다.

◎수확시기와 방법

- 마늘 주대를 3~5㎝정도 남기고 절단하여 그물망에 넣어 출하한다.

- 난지형의 경우 수확 즉시 주대를 절단하여 그물망에 넣어 운반하면 인편의 상처도 줄이고 운반 작업도 편리하다.

- 마늘 주대를 절단할 때 너무 짧게 남기고 자르면 건조과정에서 열구(쪽이 갈라짐)가 생겨 상품가치 떨어짐, 3~5㎝정도에서 자른다.

◎선별기준

- 선별 시에는 병충해 피해가 있는 것이나 상처가 있는 것은 골라서 따로 처리하여 저장 중에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충북농업기술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