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정래수 기자]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조은애 교수 연구팀이 촉매인 귀금속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인 수전해 전극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수전해는 수소경제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장치다. 수소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기술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매장량이 백금의 10분의 1에 불과한 귀금속 이리듐을 촉매로 사용해 수소 생산단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조은애 교수팀은 이리듐 사용랑을 절반으로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리듐 사용량을 50% 줄여도 상용 촉매와 동일한 성능을 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생산 단가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성과는 촉매 분야 국제 학술지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B: 인바이러멘탈(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온라인판에 지난달 25일 게재됐다.

조은애 교수는 "이리듐 사용량을 50%나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상용 촉매와 동일한 성능을 보여줬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그린 수소 생산 실용화를 위해 고활성·고내구성 전극 촉매개발을 위한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래수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