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벼
▶수확 적기
벼의 수확 적기는 외관상으로 충분히 익고 산물수매벼는 수분 함량이 25% 이하 일 때 수확하고 자가 건조시에는 90% 이상 익었을 때 수확한다.
- 벼를 너무 일찍 수확하면 청미, 미숙립이 증가하고 늦게 수확하면 동할립, 기형립, 피해립 등이 증가하여 완전미율이 떨어진다.
- 늦게 수확하면 쌀겨층이 두꺼워지고 동할립, 기형립, 피해립 등이 증가하여 완전미율이 떨어진다.
수확 시기는 품종의 숙기 또는 출수기에 따라 다르나 중생종은 출수 후 50~55일, 중만생종 재배는 출수 후 55~60일이 수확적기다.
콤바인 작업 속도가 과도하게 빠르면 탈곡통에 투입되는 벼의 양이 많아져 회전수가 올라가 벼알이 깨지는 등 미질이 떨어진다.
- 적당한 탈곡통 회전수는 1분에 500회전, 채종용은 300~350회전이 적당하다.
- 탈곡기의 회전수는 표준속도를 유지하고 검불이 나가는 양과 바람의 세기를 작업 상태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도록 함
- 작업속도는 작업조건과 포장상태에 따라 선택하고 0.3~1.4m/s가 알맞으며 쓰러진 상태가 심할 때는 0.3~0.5m/s로 조절하다.
▶건조 및 저장
미곡의 건조과정 중 쌀의 품질 저하 원인이다.
- 급격한 건조는 동할미 발생, 과도한 가열은 열손상립 발생한다.
- 과도한 건조는 식미악화와 도정곤란 초래한다.
- 건조가 지연되면 수분이 많아져 벼의 변질 초래한다.
포장에서 수확한 벼는 수분 함량과 온도가 높을수록 호흡대사가 촉진되어 가수분해 효소가 빠르게 진행되므로 호흡량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정 수분함량(약 15%)까지 건조시킨다.
- 물벼의 수분함량이 20% 이상일 경우 8시간 이내, 수분함량이 26% 이상인 경우는 변질이 빨라지므로 4~5시간 이내 건조작업을 실시한다.
벼를 고온 건조 시키면 단백질 응고 및 전분의 노화 등으로 밥맛이 떨어지고 생명력이 상실되어 종자 발아율이 낮아진다.
저장기간 중 호흡을 억제시키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저온저장은 벼의 수분함량을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정도 유지시켜 준다.
- 저온저장고에 톤백으로 적재할 때는 가능한 냉각공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며 벽체에 발생하는 결로가 톤백에 닿지 않도록 저장한다.
벼의 저장 중 호흡과정에서 곡온과 수분함량이 증가되므로 호흡 억제를 위해 적정 수분함량과 온도로 관리한다.
▶땅심 높이기
논토양의 땅심을 높이기 위해 콤바인 수확시 볏짚을 3∼4등분하여 10a당 400~600㎏ 정도 시용 후 가을갈이 실시한다.
- 볏짚시용으로 유기물 함량이 높아지고 질소, 인산, 칼리 등 무기성분 흡수량이 증대된다.
볏짚을 거두어들인 농가는 퇴․구비를 넣고 18㎝ 이상 깊이갈이한다.
◇밭 작물
▶적기 수확
(콩) 잎이 누렇게 되면 수확하는데 콩 꼬투리에 푸른빛이 없고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하였을 때 수확하도록 한다.
- 수확시기는 개화 후 60일경이고 논 이용 콩 재배는 5~10일 늦다.
- 수확시기를 놓치면 탈립에 의한 손실과 미이라병, 자반병 발생으로 품질이 떨어진다.
- 콤바인 수확적기는 소요시간과 손실률을 줄이기 위해 성숙 후 10일경이며 수분함량 18~20% 정도에 실시한다.
- 콤바인 수확 시 적기보다 빠르면 건조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미숙종자가 많아지고 늦으면 자연 상태에서 꼬투리가 터져 손실이 증가한다.
- 탈곡한 콩은 정선기 등으로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이 14% 이하로 건조 후 서늘한 장소에 저장하며 장기저장 시 5℃ 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시킨다.
(가을감자) 잎, 줄기가 고사된 다음 수확하는데, 0℃ 이하로 내려가면 동해의 우려가 있어 일기예보를 확인하여 수확시기 결정한다.
- 수확한 감자는 온도를 12~15℃, 습도 80~85%에 1주일 정도 예비저장으로 상처를 치유한다.
- 본 저장은 온도 3~4℃, 습도 80~85%에 보관한다.
(수수, 조) 수수, 조 수확은 일반적으로 10월 상․중순이며, 수수는 종피색이 붉게 변하고 씨눈 뒷면이 검은 층의 둥근 점이 나타나며 수분함량이 18~20%일 때 수확적기다.
- 콤바인 수확할 때는 종실의 수분함량이 13%까지 낮아질 때 기계 수확하는 것이 좋다.
- 조는 줄기이삭이 노랗게 변할 때 수확하는데 수확 후 도정은 미도정립과 싸라기 발생을 줄이고 완전립 비율을 높이는데 적정수분은 9~12%가 좋다.
- 품질유지를 위해 저장온도 15℃, 저장습도 50% 이하로 저장하면 좋다.
(고구마) 고구마의 수량은 9월 하순까지 거의 결정이 되고 그 이후의 수량증가는 미미하므로 10월 상·중순까지 수확을 해야 한다.
- 저장을 하거나 전분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10월 이후 전분가가 높은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 고구마는 10℃ 이하의 낮은 온도에 접하면 저장성이나 싹트는 힘이 낮아지므로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수확작업 완료한다.
- 아물이(큐어링)처리는 수확 후 1주일 이내에 온도 30~33℃, 습도 90~95%에서 4일 정도 실시하고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통기가 잘되는 창고에서 10~15일간 예비저장을 시킨다. 충북농업기술원
- 기자명 동양일보
- 입력 2020.10.13 16:00
- 수정 2020.10.13 16:01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