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철 소설가
[동양일보]그 마당은 천수만 가는 길목 가생이에 있었다. 여름밤마다 밀짚방석 너머 억새꽃 대궁들이바람을 끌어안고 출렁이고 있었다. 별들이 그물망으로 넘실거리는 늦봄 저물녘부터 누나들이 우리 집 마당을 가로질러 오그르르 바다로 나갔다. 냇물은 내려갈수록 하천 수준으로 폭이 넓어지면서 끄트머리를 넘어서자마자 서해바다가 넘실넘실 펼쳐 있었다. 누이들의 허리가 싸리회초리처럼 낭창낭창 흔들리는 어스름 달밤.
“워디 간댜? 바다 귀경?”
도시 사람들처럼 밤바다 풍경 만나러 가는 줄만 알고 무심히 내던지곤 했다. 밤이슬 맞으며 소금 창고 채우러 가는 줄 안 건 훗날의 얘기이다.
“후후후……그랴. 이.”
서해바다는 허리만큼 얕았고 해안은 리아스식으로 꿈틀거렸다. 바닷물을 저수지처럼 가두어 염분을 증발시키고 언덕 너머 다음 저수지로 옮겨 또 증발시키면서 바닷물을 걸러내며 진한 소금기를 만드는 과정이다. 세 번째 증발된 저수지에 풍덩 뛰어들면 몸이 짚토매처럼 둥실둥실 떠오르는 것 같았다. 사해처럼 염분이 많아진 것이다. 그 소금기 진한 물들을 물레방아에 돌려 염전으로 끌어 옮긴 다음 본격적으로 말리는 것이다. 여름 땡볕으로 말리고 또 증발시킨 그 이후의 고단한 도정을 누나들이 맡는 것이다. 마침내 바닥으로 소금기 버석버석 깔리면 고무래로 긁어 푸대에 담아 창고에 나르는 게 마지막이다. 고무래로 하염없이 긁고 소금부대로 하염없이 날랐다.
달님이 꼭대기에서 자정을 가리키면 징검다리 너머 반딧불이가 무도회처럼 춤을 추었다. 짚누리 뒤에서 오줌을 누다가 마주친 누나들은 종아리 소금꽃 털어내며 언덕길 넘는 중이었다. 바위기둥에 붙은 반딧불이 하나는 전구처럼 빛을 내기도 했다. 마을마다 바다가 옆구리처럼 매달린 줄 알았던 유년이다.
동무들 중에서 개헤엄 실력이 꼴찌였다. 해당화 풀밭에서 개미구멍 찾다가 허리를 펴면 고두리 저만치 시퍼런 물결로 자맥질하던 동무들의 아우성이 귓바퀴로 쟁쟁 울렸다. 가끔 안흥 바다 어디쯤에서 누군가 수평선 이쪽을 바라볼지 모른다면서 소년 혼자 망망 표정으로 마주보곤 했다. 사내들이건 계집애들이건 아무도 놀아주지 않았으므로.
‘영원히 장가를 못들 게 확실하다’
그런 불안감으로 가슴 여미던 유년의 강박증도 있었다. 동화책은 재미는 있었지만 머나먼 당신들의 스토리들이었다. 춘향전이나 심청전, 백설공주나 신데렐라까지 예쁘고 착한 여자들은 모두 고을의 사또님이나 이웃나라 왕자님과 빵빠레를 올렸으므로 어느 누구도 나의 배필이 될 수 없었다. 그나마 ‘미운 오리 새끼’의 변신이 희망을 주긴 했지만 나에게 그런 행운이 올 거라곤 꿈도 꾸지 못했다. 열심히 책에 파묻히는 만큼 절망의 늪도 깊어졌다.
여자들은 지난한 삶의 깊이만큼 기어이 마지막 한줌까지 감수하려 했다. 고두리 방앗간 김 사장도 그랬고 양조장 총무 박서기도 그랬다. 김사장의 아내가 딸만 다섯 낳은 후 더 이상 아기가 서지 않자 팔봉면에서 열다섯 살 적은 후처를 들였다. 신작로 만화방 옆에 신접살림을 차려도 조강지처건 조갑지 피붙이들이건 기꺼이 받아들이며 풋고추 이복동생을 기다리고 기다렸다. 또 딸이 태어나자 김 사장은 낮술에 취해 비틀비틀거리다가 진둔벙 징검다리에 훌러덩 빠졌다. 후처 배씨는 미역국도 마다하고 꺼이꺼이 울며 흰 빨래는 희게 빨고 검은 빨래는 검게 포갰다. 조강지처 청양댁은 마늘밭 매다가 호미날에 기댄 채 ‘김해김씨 대를 이어야 할 텐데’ 한숨만 푹푹 쉬었다. 하굣길에 만난 열네 살 매숙이 누나도.
‘새엄마가 또 딸을 낳았어.’
씀바귀 풀밭 더듬다가 슬픈 표정으로 나를 불렀다. 보리피리 만들던 누이의 풀꽃 웃음이 아지랑이 사이로 싸-하게 피어오르는 중이었다. 누이의 ‘초록빛 바다’를 따라 부르면 어느새 내 입술도 초록빛으로 물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