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옥 청주시 서원구 민원지적과 주무관
[동양일보]지금까지 종이컵을 사용하면서 종이로 만든 컵이니까 당연히 재활용 쓰레기이겠거니 생각하고 재활용품 쓰레기에 따로 구분해 버렸다. 그런데 우연히 종이컵 관련 뉴스를 보다가 종이컵은 재활용품이 아닌 일반 쓰레기라는 것을 알게 됐다. 종이니까 당연히 재활용이 된다고 생각했는데 기사를 보니 종이컵 100개 중 단 1개만이 재활용을 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종이컵에 물이 새지 않게 하려고 종이컵 안쪽에 얇은 막처럼 플라스틱을 붙였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다른 종이나 종이상자와 함께 분리배출을 하면 안 된다고 한다.
일회용 종이컵이 재활용품과 섞여서 배출되면 이것을 선별하기 위한 추가 인력과 비용이 들어간다. 그래서 사용한 종이컵은 모아뒀다가 별도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알아보니 사용 후 이물질 제거가 불가능한 컵라면 용기, 과일 포장재, 색깔 들어있는 스티로폼 등과 같이 재활용품인 줄 알았지만 일반 쓰레기인 것들이 꽤 있었다.
일상생활의 쓰레기를 제대로 분리배출하는 것은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사소한 대가이자 의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철저한 분리배출에 앞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여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외국에서는 친환경 운동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운동이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제로 웨이스트란 환경을 위해 쓰레기 생산을 최소화하는 생활 습관을 말한다. 생활 속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최소화하자는 취지로 일회용 컵, 비닐봉지 등 썩지 않는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쓰레기를 뜻하는 ‘garbage’나 ‘trash’ 대신 ‘waste’를 쓴 이유는 이 단어가 ‘낭비’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한 소비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만큼 우리 스스로 제로 웨이스트 라이프를 실천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실천해보자.
첫째, 마트나 백화점에서 비닐봉지 사용 줄이기이다. 물건을 사러 갔을 때 간단한 것은 손에 들고 가거나 비닐봉지 대신 튼튼한 장바구니를 이용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더 이상 비닐봉지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달을 것이다. 장을 보러 갈 때 조그마한 장바구니를 가방에 넣어 다니자.
둘째, 일회용 빨대와 플라스틱 컵 대신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빨대 대신 친환경 빨대를 사용하고, 테이크아웃 커피를 주문할 때 개인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제로 웨이스트에 동참할 수 있다.
셋째, 화학세제보다 베이킹 소다와 식초를 배합해 청소를 하는 것이다. 주방과 욕실 청소에 사용되는 다양한 세제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지만 여러 가지 화학 물질이 첨가돼 환경에 좋지 않고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생된다. 베이킹 소다와 식초를 적절히 배합해 세제로 이용한다면 효과가 좋을 뿐만이 아니라 환경에도 좋다.
어쩔 수 없이 일회용품을 사용하게 된다면 철저한 분리배출을 해야 한다.
하지만 모든 일회용품은 대체재로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고 영원히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꼭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실천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