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엄재천 기자]◇벼

▶모기르기 사전준비

재배 지역별 생태, 숙기, 용도를 고려하여 건전한 볍씨를 준비한다.

- 고품질 밥쌀용, 특수미, 가공용 등 용도에 맞는 품종 및 순도가 높고 고유특성이 잘 보존된 종자를 선택한다.

- 신품종 재배는 적응지역, 병해충 저항성 등 재배안전성을 고려한다.

종자는 손 또는 일관자동 파종기로 파종되므로 균일한 파종을 위해 소금물가리기 작업 전에 탈망작업을 실시한다.

종자량은 모를 낼 논에 소요되는 육묘상자를 고려하여 약 10% 정도 여유 있게 준비한다.

모기르기에 필요한 모판흙, 상자, 소독약제 등의 자재를 준비한다.

시판상토를 구입할 때는 시험연구기관의 위탁시험 결과가 첨부된 상토 중 우수하다고 인정되는 상토를 사용한다.

▶볍씨 고르기 및 소독

충실한 볍씨 선별을 위하여 소금물가리기를 실시한다.

(보급종 등 종자의 정선 상태가 좋으면 생략한다)

- 균일한 파종을 위해 소금물가리기 작업 전 정선작업 실시한다.

- 소금물가리기를 할 때 물의 비중은 메벼 1.13(물 20ℓ+소금 4.24㎏), 찰벼는 비중 1.04(물 20ℓ+소금 1.36㎏)가 적당하다.

- 소금물가리기는 3~10분 이내로 한 후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은 후 그늘에 말려 볍씨 소독까지 보관하거나 바로 볍씨 소독한다.

볍씨소독은 약제침지소독법과 온탕소독법이 있다.

- 약제침지소독법은 적용약제를 물 20ℓ에 종자 10㎏을 볍씨발아기(온탕소독기)를 사용하여 30℃에 48시간 담가 소독한다.

▷볍씨발아기 이용 종자소독 시 주의사항

구입한지 오래된 발아기는 온도 조절장치의 센서 점검, 설정 온도와 실제 물의 온도가 같은지 확인한다.

☞ 센서 고장 시 실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 종자를 모두 쓸 수 없게 된다.

물 온도를 30℃까지 높인 후 약제 희석 후 종자 넣어 준다.

종자의 발아세가 다른 품종을 함께 소독, 침종 및 최아 할 경우 발아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므로 분리하여 소독한다.

- 온탕소독방법은 60℃의 물 100ℓ에 마른상태 벼 종자 10㎏을 10분간 담가 소독하고 냉수에 10분 이상 종자를 담근다.

(온탕소독할 볍씨는 사전 침지 및 소금물가리기 금지)

- 친환경자재를 이용한 소독은 완벽한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1차로 온탕소독을 한 후 친환경자재를 활용하여 소독하면 효과가 높다.

- 유기농자재 석회유황 체계처리 소독 방법은 온탕소독(60℃, 10분), 냉수에 담그기(30분), 석회유황처리 50배액(30℃, 24시간), 세척하고 싹틔우기하여 파종한다.

볍씨 파종 직전 습분의 처리는 싹의 길이가 1.5mm 이하이고 볍씨에서 물방울이 1~2개 떨어질 때 종자 1㎏에 전용약제 2.5㎖를 잘 섞어 실시한다.

볍씨 소독 후 종자 담그기는 적산온도 100℃ 기준으로 15℃에서 7일 동안 실시하고 신선한 물로 갈아주어 볍씨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 볍씨 담그기는 시간이 길어지고 온도가 높을수록 자주 물을 갈아주어야 볍씨 활력이 유지된다.

파종 전 볍씨 싹틔우기는 30~32℃에 어두운 조건에서 보통 1일 정도 두어 하얀 싹 길이를 1㎜ 내외로 키우면 적당하다.

- 싹이 너무 길어지면 파종 작업할 때 싹이 부러지고 싹이 작으면 싹틀 때 모 키가 불균일하게 자란다.

▶못자리 설치 및 관리

부직포 못자리를 너무 일찍 하게 되면 저온 장해를 받을 우려가 있으므로 지역별 안전 파종 한계기를 고려하여 파종한다.

- 부직포 육묘과정은 종자최아(1㎜ 내외) → 파종 → 간이출아 → 못자리 치상 → 육묘상자 물주기 → 부직포 피복 - 부직포 피복 후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을 상자 옆에 1~1.5m 정도 간격으로 얹어 고정시킨다.

어린모 육묘는 적정 물 관리와 알맞은 온도 유지를 위해 출아기(30~32℃), 녹화기(20~25℃), 경화기(15~25℃)에 맞추어 주어야 한다.

- 묘판이 지나치게 건조하면 생육장해를 받아 모가 고르지 못하고 과습하면 모가 쓰러지거나 뿌리 얽힘이 불량해지므로 물주는 양과 횟수를 조절한다.

- 출아 직후에 녹화기가 되면 직사광선을 일부 가려 백화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지나치게 온도가 낮거나 높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충북농업기술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