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혁신 주도 전 만 권 천안시부시장

전만권 천안시부시장

전 부시장 “행정도 서비스” 협업·속도행정 주문
지난해 민원처리 기간 63.1% 단축… 시민들 호평
재난전문가 역량 발휘 ‘특별재난지역’ 지정 견인도
토목 8급으로 시작해 2급까지… ‘성공신화’ 써내

[동양일보 최재기 기자]공장 인·허가를 신청하기 위해 천안시청 허가과를 자주 찾는 한 용역업체 직원 이모 씨는 담당 공무원의 신속한 민원업무 처리에 깜짝 놀라고 있다.

이 씨는 “천안시의 인·허가 민원이 빨라지고, 부서 간 핑퐁식 떠넘기기 업무 관행이 확 줄었다”고 호평했다.

지난해 6월 전만권(59) 천안부시장이 부임하면서부터 행정 절차가 간소화되고 속도감이 붙었다.

전 부시장은 “행정도 서비스다. 민원행정은 민원인의 눈높이에 맞추고 최대한 신속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지난해 인·허가 민원처리 개선 T/F팀을 구성하고, 민원처리 기간을 대폭 단축하는 속도행정을 주문했다.

대행사와 신청인에게 민원처리 과정을 문자로 통보하는 쌍방향 소통시스템도 구축했다.

이 결과, 지난해 63.1%의 민원처리 단축 효과를 거뒀고, 민원 분쟁도 크게 줄었다.

올해 초에는 민원점검 조정회의(위원장 부시장)를 도입했다.

민원 관련 부서 담당자가 한자리에 모여 민원처리 과정에 발생하는 문제점과 법령, 부서 이견 등 종합적인 의견을 교환하고 의제처리 결정 등 결론까지 도출하는 방식이다.

전 부시장은 “올해 민원처리 단축 기간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선장이 바뀐 ‘박상돈호’의 부선장으로서 보조역할은 물론 지역발전·재난안전 전문가로서의 역량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그는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국, 중앙재난안전상황실장, 재난복구정책관 등을 지냈다.

그가 부임할 당시 천안은 집중호우로 큰 피해가 난 데다 코로나19 집단감염까지 속출해 행정시스템이 마비될 정도였다.

그는 중앙부처의 인맥과 재난안전 정책 추진 경험 등을 발휘해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이끌었고, 수해복구 현장을 지휘하며 수재민들의 애타는 마음을 위로했다.

이후 전 부시장은 태풍 등 자연재해의 인명피해 제로화를 목표로 읍·면·동 마을별 재해위험 자체상황판단회의제도를 도입했다.

전 부시장은 “기상특보 발효 시 이·통장 등 주민들이 위험도 분석 및 대피를 결정하고, 마을 복구 장비 및 자원을 투입해 선제적으로 대응한 뒤 사후 정산하는 방식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와 관련해서는 선제적 방역과 지역 간 정보 공유 및 공동대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아산시와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 집단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도 했다.

전국 최초로 57개 유관기관 및 관련부서가 참여하는 산단조성사업협의체도 구성해 10개 산업단지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해 큰 호응을 얻었다.

최근에는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한 구호 활동 지원이 가능하도록 전국재해구호협회와 협력 시스템도 구축했다.

전 부시장은 “성공적인 시책과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협력 네트워크 구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코로나19와 재해, 기후변화 등에 대비해 전국 최고 수준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시책을 과감히 도입하는 ‘유능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그는 직원을 잘 헤아리는 ‘포용의 리더십’까지 겸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충남 아산 출신인 그는 1987년 토목 8급으로 공직에 입문해 2급(이사관)까지 오른 성공신화 공무원 중 하나다.

전 부시장은 “8급 시절 사무관(5급)이 꿈이었는데, 열심히 일하다 보니 이사관까지 올라 왔다”고 멋쩍어했다. 그가 부하직원들의 고충과 의중을 잘 헤아리고 통솔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기술고시가 아닌 ‘비고시’ 출신으로 고위공무원단에 이름을 올린 전 부시장이 천안시 2300여명 공직자의 희망사다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사진 최재기 기자newart70@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