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동양일보 기자]더불어민주당 대전지역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 후보 경선이 전략공천.공천배제.재심신청 등이 여기저기에서 반복되면서 갈팡질팡 혼란을 더하고 있다.
대전시장 후보 공천작업은 일찌감치 끝났지만 나머지 기초단체와 광역.기초의원 대부분은 이번 주말을 즈음해 정점에 이를 것이라는 게 지역정가의 분석이다.
이런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당내 예비경선에서 컷오프돼 ‘링’에 오르지 못한 이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여러 명의 후보들이 격돌하는 선거구에서 이런 파열음이 더 크게 나타날 개연성도 있다. 일부 후보들은 탈당 선언과 함께 고소.고발까지 하고있으니 선거 이후에도 후유증으로 남지는 않을까 우려된다.
예비경선을 둘러싸고 5개 자치구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고 있는 이런 모습은 현재의 경선 심사가 과연 예비 후보 모두가 깔끔하게 승복할 수 있는 공정·투명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흔히들 선거는 축제이자 ‘민주주의 꽃’이라고 한다. 민주주의 뿌리를 더 견고하게 다져 더 성숙되고 더 나은 ‘민주의 결정체’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축제의 준비 단계부터 이런 파열음과 잡음이 반복되는 구조라면 뭔가 문제가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민주체제에서 필수 불가결한 선거 제도의 장점을 희석시킬 수 있는 일이기도 하다. 당사자는 물론 유권자가 보기에도 안타깝고 답답한 일이다. 상대 정당 후보 간에 펼쳐지는 본선거는 차치하더라도 당내 경선에서도 유권자들이 후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치열한 경쟁은 필요하지만 예비경선마다 이런 모습들이 반복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칫 지역민 간 갈등 요소로까지 번질 수 있는 일이다. 이는 역설적으로 후보 모두가 승복할 수 있는 투명한 심사 평가 기준을 정립하고 시행 과정에서도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공정한 시스템을 적용해야 한다는 고민을 더 많이, 더 깊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천(私薦) 논란'에 휩싸인 대전 중구 2선거구. 지역 국회의원은 '검수완박'을 외치지만 '전공완박'(전과자 공천 완전 박탈)이 더 시급한 듯하다.
- 기자명 동양일보
- 입력 2022.04.28 11:20
- 수정 2022.05.02 11:21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