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 제공>

[동양일보 도복희 기자]△집중호우 전·후 축사관리

집중호우에 대비해 농장 사전 정비 시 축대가 무너지지 않도록 보수하고, 축사 주변, 운동장, 초지·사료포 등이 침수되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한다.

바람이나 비로 인한 누전 등 전기사고 예방을 위해 축사 내 전기 안전점검을 하고, 사료는 비를 맞지 않는 곳으로 옮겨 안전하게 보관한다.

호우가 지나간 뒤 농후사료와 풀사료는 곰팡이로 인한 변질과 부패는 없는지 자주 살피고 기온이 낮은 새벽이나 저녁에 조금씩 자주 먹여 관리한다.

깨끗한 물과 함께 축종별 적정한 비타민과 광물질을 별도로 보충해 가축 건강상태를 면밀히 살핀다.

바람이 잘 통하도록 주변 장애물을 옮기고 송풍팬을 틀어 40~70% 범위 내 적정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젖은 깔짚은 제거하고 충분한 양의 마른 깔짚을 깔아 축사 바닥이 질어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사육밀도를 낮춰 가축의 고온 스트레스를 줄이고, 소독시설 가동 점검과 시설 파손여부를 점검해 질병 전파를 차단한다.

침수된 장소의 물을 빼내고, 유기물 등을 깨끗하게 청소한 후 환경에 맞는 적절한 소독제를 살포해 축사와 가축 위생관리를 철저히 한다.

침수지의 해충 발생 방지를 위해 축사 주변 물웅덩이는 즉시 메운다.

축사에 가축이 있을 경우 구연산, 가축이 없을 경우에는 알칼리제와 염소를 사용해 소독을 한다.



△환절기 대비

환절기에는 폭염으로 줄었던 가축의 식욕이 왕성해지는 시기이므로 양질의 사료를 넉넉하게 주고 깨끗한 물을 충분히 제공한다.

환절기 극심한 일교차 등에 대비해 축종과 축사시설에 따라 방풍·보온관리를 사전에 준비한다.

돼지는 일교차가 5℃이상이 되면 질병 저항력이 떨어지므로 신경써야하고, 특히 자돈의 온도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닭 사육농가는 열풍기를 미리 점검해 적정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열풍기가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사료작물 관리

집중 호우로 인한 침수지역의 사료작물포는 신속한 배수로를 설치한다.

고온 피해를 받은 초지는 바로 보파해 주고 심하게 받은 초지는 전면 갱신으로 식생이 빨리 회복되도록 관리한다.

동계사료작물 재배에 필요한 종자(IRG, 청보리, 호밀 등)와 비료 등을 미리 준비해 적기에 파종할 수 있도록 하고, 종자별 내한성의 차이가 있으므로 지역별 알맞은 품종을 선택한다.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 화재 예방

농장 규모에 맞는 전력을 사용한다.

분전반 내부와 노출 전선, 전기기계·기구의 먼지 제거 등 청결을 유지한다.

노후 전선은 즉시 교체하고 방수용 전선을 사용해 습기에 대비한다.

정기적인 안전 점검으로 안전한 전기 사용(누전차단기 설치)을 한다.

전기설비 점검과 개보수는 전문업체에 의뢰한다.

축사 내 곳곳에 소화기 비치와 소방차 진입로를 확보한다.

축사 화재 등 재해대비 보험 가입을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