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명숙 청주시 공동주택과 주택정책팀장

황명숙 청주시 공동주택과 주택정책팀장

[동양일보]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 출범 후 8년 4개월이 지났다. 통합 후 86만 청주시민을 위한 공무원 조직과 인원은 증가한 반면 청주시 청사는 변함없이 4층 구조를 유지한 채 그대로며, 지금은 제1청사와 미로같은 제2청사에 흩어져 근무하고 있다. 청주시 본관동과 설계안을 두고 철거와 존치, 기존설계&재설계 논리가 첨예하게 대립돼 어수선하다.

통합 결정 후 첫 번째 이삿짐을 꾸렸고 그 후 청석빌딩으로 우민타워로 경유지인 현재의 문화제조창으로 4번 이사를 했다. 물론 그 이상 이삿짐을 싣고 풀기를 반복한 직원들도 많다.

신혼부부가 종잣돈을 모아 평수를 늘려가는 내 집 마련 이사는 행복하기라도 하지, 내 집 마련이 요원한 이사는 버겁기만 했다. 사무실이 흩어져 있다 보니 시민들 또한 담당부서 찾느라 얼마나 힘드셨을까? 허가민원 처리를 위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사무실을 찾아 상담했더니만 “더 검토해 보겠지만 어렵습니다.”란 답변을 듣고 화를 내는 민원인의 심정을 돌이켜보니 백번 천 번 이해가 된다.

언제까지 시민들에게 ‘사무실 찾아 삼만리를 하셔야 합니다’라고 해야 하는지 갑갑하다. 하루빨리 흩어져 있는 사무실을 한곳에 집결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해야 하지 않을까? 이젠 논쟁을 매듭짓고 시민을 위한 행정을 할 수 있도록 신청사 건립에 속도를 내야 할 때다.

우여곡절 끝에 경유지에 도착한 문화제조창. 건물과 주차장 출입구가 1곳 또는 2곳인 단순한 공간에서만 근무했던 우리는 사방으로 뚫린 출입구, 미로같이 얽혀 있는 공간에서 근무처와 주차장을 찾아 헤매던 기억, 얽힌 동선으로 인한 접촉사고 경험들을 지금도 티타임 소재로 푼다.

통합 후 8년여 시간이 흐른 후 계획하는 청주시 청사는 시각적인 디자인 요소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민안전과 편리함이 최우선이어야 하지 않을까?

대한민국 헌법에는‘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또한, 안타까운 1029 참사는 사회에‘안전’화두를 던지며 대책 마련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은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A(우수)부터 E(불량)까지 규정하고 있고, 청주시 청사 본관동은 주요부재에 결함이 발생해 긴급한 보수ㆍ보강이 필요하며 사용제한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D등급이다.

문화재적인 가치를 논하기에 앞서 86만 청주시민 안전을 D등급 건물로 담보해야 하는가를 먼저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 안전행정은 사후복구가 아니라 예방에 초점을 둬야 한다. 물리적인 수명이 앞으로 20년~40년 밖에 남지 않은 건물을 86만 청주시민 안전을 담보하면서까지 존치해야 하는지를 먼저 고민해야 한다.

정확하고 깊이있게 경제성, 효율성, 가치성을 검토하고 미래 100년을 내다보며 다 같이 앞으로 가야 하지 않을까?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