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보건 인식 제고 위한 공개토론회
[동양일보 도복희 기자]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30일 오후 2시에 서울대 암연구소에서 ‘2022년 기후보건 위험 인식 제고를 위한 공개토론회’를 했다.
이번 공개토론회는 질병관리청과 대한예방의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기후변화에 따른 국민 건강영향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차 기후보건영향평가’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개발한 시각화 자료의 활용방안 등 기후보건에 대한 소통·교육·홍보 방안을 논의했다.
기후보건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 ‘기후변화가 건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심각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63.2%였다.
기후변화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는 응답(87.4%)에 비해,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을 심각하게 생각하는 정도는 낮았다.
‘심각하거나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한 성별 비율은 남자가 61.6%, 여자가 64.8%로 나타났다.
연령별 비율은 60대 이상 인식도가 70.5%인 반면 20대는 42.9%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78.1%가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정부정책에 동의한다고 응답했으나 질병관리청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후보건영향평가는 9.1%만 ‘잘 알고 있었다’고 응답했고, 84.7%가 ‘모르거나 알고 있었지만 자세히는 몰랐다’고 응답했다.
남성의 경우 40.6%, 여성의 48.2%(전체 44.4%)가 기후보건영향평가를 몰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다”고 느끼는 응답자는 30.3%에 불과했다.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자는 69.7%였으며, 연령별로는 30대에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이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가장 관심있는 분야 중 1순위로 꼽은 것은 일반건강·질환정보(32.0%)로, 뒤를 이어 기후보건정책(26.2%), 안전·행동 및 대응수칙(21.3%) 순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건강위해대응관 권병기 국장은 “인식도 조사 결과 기후변화와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높으나, 관련 정보의 전달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후보건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를 위해 과학적 근거 기반 콘텐츠를 개발해 국민소통에 활용해 나갈 것이며, 이번 공개토론회가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민 관심을 유도하고 인식을 제고하는 자리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도복희 기자 phusys2008@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