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진 청주시 친환경농산과 주무관

김병진 청주시 친환경농산과 주무관

[동양일보]우리는 지금까지 농업을 기반으로 살아오고 있다. 지금까지 그래왔지만 미래에도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고민은 더욱 커질 것이다. 이러한 고민에 대한 해답은 바로 친환경농산물이다. 농업 분야에서는 화학비료를 줄이고 유기질비료 등 농업환경 부산물을 활용하는 친환경농업을 육성해 왔다.

친환경농업은 미래 지속이 가능한 대안으로 필요한 제도이고 건강한 먹거리를 찾는 이 시기에 정말 중요한 가치다. 다만 친환경 인증을 받고 그 가치를 유지, 관리하며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쉽지 않다. 친환경농업의 실천은 농업인에게는 일반농법에 비해 더 많은 노동력과 재배 기술이 필요해 꽤 부담스럽고 어려운 농법이고, 인증기준에 맞게 생산한 농산물을 일반 농산물이나 인증 종류가 다른 생산물과 구분 관리하고 그에 맞게 표기 사항을 준수해 유통 및 판매를 해야 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농산물에 친환경 마크가 붙어있다면 보다 안심해서 찾게 된다. 친환경은 유기농과 무농약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건강한 토양에서 환경친화적 농법을 통해 생산된 모든 농산물을 아우른다. 이렇게 생산된 친환경농산물의 종류는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로 나뉜다. 세부적으로 들어가서는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의 가장 큰 차이점은‘화학비료’의 사용 유무다.

즉, 친환경농업 실천의 기본적인 공통점으로는 농약은 사용하지 않고 재배해야 하며 이중 유기농산물 인증은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해야 하며 무농약농산물은 화학비료만 권장량의 1/3 이내로 사용해야 인증이 가능하다. 이러한 까다로운 재배 과정을 거쳐야지만 친환경농업을 이루고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화학비료, 합성 농약 등이 나오고 있는 현대사회이지만 미래 세대에 건강한 먹거리와 환경을 물려주고자 하는 농업인들의 마음이 있기에 수고스러움에도 친환경농업은 꾸준히 실천되고 있다. 농업인들이 지켜온 친환경농업 실천을 이제는 소비자 또한 그러한 가치를 인식하고 존중하며 소비로 연결을 해 주어야 지속가능한 발전이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친환경농산물에 수요에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농산물 판매 코너에서도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은 마크를 많이 볼 수 있고 소비자들 또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쇼핑을 하는 모습을 보곤 한다. 또한 학교급식에는 필수적으로 친환경농산물이 납품되고 있으며 건강한 먹거리를 찾는 임산부들의 관심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이러한 관심이 친환경농산물의 신뢰도를 보여준다고 생각하고 앞으로의 친환경농업의 미래도 밝다고 생각이 든다. 농업부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 안정한 먹거리를 위하여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가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 지속 가능한 농업에 이바지했으면 좋겠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