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농업기술원 제공>
[동양일보 도복희 기자]△6월 낙과
생리적 낙과란 개화 직후로부터 성숙기까지의 과실 발육기간 중에 일어나는 기계적 낙과나 병충해에 의한 낙과를 제외한 그 밖의 원인에 의한 낙과를 말한다.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감나무 등 여러 과수에서 일어나며 특히 6월경에 발생하는 유월낙과(june drop)의 정도는 과실의 수량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중요하다.
만개 후 5∼20일 사이에 일어나는 초기낙과는 암술의 불완전이나 불수정에 의한 낙과가 대부분이다. 그 후의 낙과는 주로 수정이 됐더라도 어떤 원인에 의해 배의 발육이 정지돼 일어난다.
6월 낙과와 같이 조기낙과의 후반기에 일어나는 낙과는 일조부족, 수세과다, 토양수분의 과잉 또는 부족, 고온 또는 저온 등으로 인해 배의 발육이 정지된 것이 원인이다.
조기낙과는 과실이 일시에 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많이 떨어지는 시기와 적게 떨어지는 시기가 있어 어떠한 파상을 이룬다.
첫 번째는 비정상적인 꽃, 수분이 되지 않은 꽃, 수분은 됐지만 수정이 되지 않은 꽃이, 두 번째는 수정은 됐지만 배가 퇴화된 것, 세 번째는 개화 7∼9주 후에 일어난다
△사전대책
수정을 확실하게 해 과실 내 종자수가 많아지도록 유도한다. 적절한 수분수 재식, 화분매개곤충 방사, 인공수분 등을 실시한다
유월낙과는 새 가지와 과실 간의 양분과 수분 경쟁에 따른 공급 불균형으로 종자 배(胚)의 발육이 억제되거나 퇴화돼 일어난다. 따라서 뿌리로부터 흡수되는 질소와 잎에서 만들어지는 동화양분이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개화 후에는 꽃 또는 열매솎기를 철저히 해 새가지와 과실 간, 과실과 과실 간의 양분경쟁을 줄인다.
△사후대책
낙과현상 발생이 심한 과원은 마무리 적과를 늦추어 실시한다.
과원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관리를 첣저히 한다. 철저히 한다.
수세가 강한 과원은 영양제를 살포한다.
출하 시기가 장마철과 겹치면 수확시기가 늦어져 유통 중 과육이 무르거나 썩는 현상 발생한다.
만개 후 80일 전후로 과실 껍질이 연녹색 바탕에 노란색 착색이 약 30% 진행된 단계(B)에 수확한다. 후숙처리(5∼6일) 후 상온 유통기간 5일 지난후 과실 껍질이 노란색 착색이 80% 진행된 단계(D)에 수확한다.
수확 전 낙과 예방과 상온 유통기간을 고려해 B∼C단계에 수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