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자생한방병원 김주영 의무원장

[동양일보]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면서 다이어트나 몸만들기를 목적으로 운동에 열을 올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다가 갑자기 운동을 시작하거나 의욕이 넘쳐 무리하게 운동을 강행하는 경우 ‘족저근막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족저근막염은 발바닥 근육을 감싸고 있는 얇고 긴 막인 족저근막에 염증이 발생해 통증이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이다. 이 질환은 △운동을 과도하게 했을 때 △장시간 운전을 이어갔을 때 △굽이 딱딱하거나 얇은 신발을 오래 신었을 때 △체중이 급격히 증가했을 때 △골반이 불균형해져 한쪽 다리에 무게 중심이 쏠릴 때 등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발바닥에 자극이 누적되며 발생하게 된다.

족저근막염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일어서거나 걸을 때 발뒤꿈치 안쪽에 나타나는 통증이다. 특히 아침에 일어나서 첫발을 디딜 때 제일 심하다. 이후 몇 발자국 보행을 시작하면 증세가 나아지는 듯하기 때문에 질환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는 환자도 적지 않다. 하지만 제때 치료에 나서지 않을 경우 점점 손상 과 염증 부위가 커지고 통증도 그만큼 심해져 일상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다. 심하면 척추, 무릎, 고관절까지 변형을 야기하기도 하므로 비슷한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현명하다.

한의학에서는 족저근막염 치료를 위해 추나요법을 비롯한 침, 약침, 한약 처방을 병행하는 한방통합치료를 주로 한다. 침 치료는 경직된 발바닥 주변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켜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한약재 유효 성분을 무해하게 정제한 약침 치료는 염증 해소와 손상 조직 회복에 탁월하다. 더불어 환자 체질에 맞는 한약 처방을 병행하면 손상된 근막을 강화하고 재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질환 정도에 따라 틀어진 뼈와 근육을 교정시키는 추나요법을 병행하기도 한다.

특히 근골격계 질환 치료에 널리 활용되는 신바로약침은 연구논문을 통해 족저근막염 치료 효과가 객관적으로 확인된 치료법이다. 대전자생한방병원과 대전대 공동 연구팀이 발표한 임상증례 보고 논문에 따르면, 족저근막염 환자들의 통증 수치는 약침 치료 전 극심한 통증을 뜻하는 10점에서 치료 후 경증인 2점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족저근막염은 치료도 중요하지만 재발이 잦은 질환인 만큼 평소 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첫째, 아침에 일어나 걷기 전에 발바닥을 충분히 마사지하거나 스트레칭해 부담을 줄여준다. 둘째,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과체중은 족저근막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보행 자세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신발을 착용하도록 한다. 발에 꼭 맞는 가벼운 운동화가 가장 좋으며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하이힐이나 플랫슈즈, 슬리퍼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사람이 매일 두 발로 걸어 다니며 활동하는 이상 족저근막염은 조기에 질환을 발견하고 치료에 나서는 것이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올해 여름은 과시용 몸만들기가 아닌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을 지혜롭게 계획하고, 발바닥뿐만 아니라 척추나 관절에 부담이 쌓여 부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휴식도 함께 취할 수 있도록 하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