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에 밀가루 대신 가루쌀 혼합… 품질 큰 차이 없어
[동양일보 도복희 기자]가루쌀을 이용한 라면 생산이 가능해졌다.
농촌진흥청은 대표적인 밀가루 소비 식품인 라면에 밀가루 대신 가루쌀을 혼합했을 때 일반적인 라면과 품질면에서 큰 차이가 없는 혼합 비율을 밝혀냈다고 17일 전했다.
농진청과 세종대 식품생명공학과 이수용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행한 ‘가루쌀 혼합 비율에 따른 라면 가공적성 연구’에 따르면 밀가루 사용량 20% 이내를 가루쌀로 대체해도 품질면에서는 비슷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라면을 만들 때 가루쌀 비율을 높이면 글루텐 함량이 줄어들어 국물이 탁해지고, 면이 쉽게 끊기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비율을 20% 이하로 유지하면 큰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실제 가루쌀 비율이 40% 이상일 때는 반죽의 탄력성이 절반 이하로 감소하고 라면 모양을 만들기 전 단계인 면대 제작이 어려웠지만, 20% 이하 비율에서는 반죽의 물성과 조리·관능적 특성이 전량 밀가루로 만든 라면과 비슷했다.
농진청은 이번 연구 결과를 라면 생산에 적용하면 연간 7만7000t의 밀가루를 가루쌀로 대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수용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아주 기본 재료만을 이용해 가루쌀라면을 만들었다”며 “여기에 라면 제조업체들이 가진 기술과 비법을 적용한다면 더 우수한 품질의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태정 농진청 수확후이용과장은 “정부는 쌀 소비 촉진과 수입 밀 증가에 대응해 가루쌀 ‘바로미2’ 중심의 쌀가공산업 활성화 정책을 혁신과제로 추진하고 있다”며 “가루쌀라면은 쌀 소비를 촉진하고 수입 밀 증가를 조절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복희 기자 phusys2008@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