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김영환 충북도지사가 30억원 차용 논란에 휩싸였다.

논란은 도지사 소유 건물과 토지 매매와 관련해 폐기물업체에서 돈을 빌린 게 실마리다.

이를 두고 도지사와의 연관성 문제로 연일 충북 정가는 물론 시민사회단체까지 나서 시끄러워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도지사가 소유한 건물과 토지 매매과정에서 나타난 30억원 차용 문제가 정치권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라는 ‘오비이락(烏飛梨落)’ 격이다.

도지사는 30억원 차용 논란이 불거지자 기자회견을 자청해 자세한 설명을 곁들이고 이해를 구했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도지사와 사업적으로는 예사롭지 않은 폐기물업체 대표와의 관계가 우연치곤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게 관전평이다.

우리나라 국민 누구나 사유재산 취득과 처분 등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없다.

관보에 공개하는 공직자 재산등록 목록을 확인해봐도 남들이 다 알 수 있다.

그런데 도지사가 건물과 토지의 매매과정에서 문제가 불거져 이를 해결하기 위해 30억원을 빌렸다는 데 사람들이 믿질 못하겠다고 하니 김 지사로서는 환장할 노릇이다.

아무리 해명을 해도 의혹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태세다.

폐기물업체 대표와 도지사와의 돈거래를 직무 연관성으로 연결해 몰고 가는 분위기다.

이 과정에서 폐기물업체가 추진하는 사업 과정도 상세하게 도민들에게 알려졌다.

그러나 해당 업체가 부동산임대업과 문화·예술사업 등 이른바 제법 규모가 큰 규모고, 대표자 역시 지역사회에서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어 두 사람 사이에 오간 거액의 돈을 두고 흑막이 있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0억원이라는 비교적 거액의 돈을 거래하면서 채권자가 조건 없이 빌려줬다고 설명하면 이를 믿을 사람이 없는 현실이 아쉬운 부분이다.

선출직 공무원의 도덕적 윤리적 의무는 말할 것도 없고, 법적 문제도 논란에 휘말리는 일이 없어야 당연한 논리다.

하지만 국민 정서를 거슬리는 일이 벌어지면 대책 마련은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

심지어 건물과 토지를 매매하는 과정이 삐끗거리는 곤경에 빠져 서민 정서를 거스르는 거액이 오갔다면 여론 양상은 달라질 수 있다.

거기에다가 돈 거래 상대방이 폐기물업체를 운영하고 여러 사업체를 경영하고 있다면 도민들은 우선 직무 연관성을 거론한다는 사실을 도지사가 모를리 없다.

김 지사가 돈 거래 문제를 설명하는 일에 게으르면 도지사 개인뿐만 아니라 비도덕 정치인이라는 꼬리표를 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남을 탓하기 이전에 죽기 살기로 돈거래에 대한 명확한 견해를 밝히고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만 의혹이 풀릴 수 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